기저질환 동반 특정 질환자의 통증 관리에 대한 권고 / 한국존슨앤드존슨판매 유한회사(켄뷰)

한국존슨앤드존슨판매 유한회사(켄뷰)가 기저질환자를 위한 통증 관리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아세트아미노펜 전문 백서를 발간했다.

켄뷰는 'Bridging Gap in Pain Management for Special Consumers: 환자의 통증 관리 격차 해소' 백서를 공식 발표하며 심혈관·신장·위장 질환 등 만성질환을 보유한 환자들이 보다 안전한 진통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백서는 글로벌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기관인 IQVIA와 공동으로 제작되었으며, 한국·중국·싱가포르 3개국 의료진의 실제 임상 경험을 기반으로 구성됐다.

고령층과 기저질환자의 약물 선택이 복잡해지는 상황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백서는 전 세계적으로 약 15억 명이 만성 통증을 겪고 있으며 이 중 많은 이들이 심혈관질환, 신장질환, 위장관 장애, 골관절염 등을 동반한 고위험군 환자임을 지적한다.

특히 일반 진통제(NSAIDs)를 사용할 경우 위장관 출혈, 신장 기능 악화, 심혈관계 부작용 등 다양한 위험이 존재해 보다 신중한 약물 선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골관절염과 만성 신장질환 유병률이 각각 8%를 넘어섰다.

이에 따라 고위험군 환자의 안전한 통증 관리 전략은 개인 건강뿐 아니라 공중보건 차원에서도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백서는 진통제 주요 계열인 아세트아미노펜, NSAIDs, 오피오이드의 약리 특성을 비교 분석하면서 아세트아미노펜이 위장관·신장·심혈관계에 미치는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을 강조했다.

약물 상호작용 가능성 역시 제한적이다. 반면 NSAIDs는 위장관 출혈 위험과 심혈관계 부작용이 크며 오피오이드는 의존성과 호흡억제 우려가 있어 기저질환자에게 장기 처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안전성 근거를 기반으로 세계보건기구(WHO)는 1986년부터 경증~중등도 통증 관리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을 1차 치료제로 권고해왔고, 2022년 가이드라인에서도 이를 재확인했다.

미국노인의학회(AGS)와 미국심장협회(AHA) 또한 고령자와 심혈관질환자에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진통제로 아세트아미노펜을 권고한다.

백서에는 한국·중국·싱가포르의 현직 의료진이 참여해 아세트아미노펜의 실제 임상 적용 사례와 전문적 견해를 담았다.

반태현 은평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NSAIDs는 위험 부담이 크기 때문에 아세트아미노펜이 가장 적절한 선택인 경우가 많다”며 “백서에서도 밝혔듯 기저질환이 있거나 고령인 환자군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진통제로 임상 현장에서 가장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리앙 첸(Liang Chen) 중국 북경대학병원 교수는 “아세트아미노펜은 NSAIDs보다 부작용 위험이 낮아 고령층, 심혈관질환자, 위장관 질환자에게 선호된다”고 평가했다.

호 콕 유엔(Ho Kok Yuen) 싱가포르 마운트알베르니아병원 교수는 “항응고제 복용 환자에서 출혈 위험이 적어 일차 진통제로 권장된다”며 안전성과 내약성 측면에서 우수함을 강조했다.

약국 현장에서의 견해도 백서에 포함됐다.

이상록 태전온누리약국 약사는 “아세트아미노펜이 WHO 권고 1차 진통제임에도 불구하고 부작용 우려가 과장되거나 잘못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백서는 환자의 상태에 맞는 약물 선택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해 실무 현장에서 매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번 백서를 통해 켄뷰는 기저질환자를 위한 통증 관리에서 ‘안전성 중심의 진통제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각종 심혈관 위험, 신장 기능 악화, 위장관 장애 등의 위험을 고려했을 때 아세트아미노펜은 기저질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1차 진통제라는 임상적 근거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켄뷰는 이번 백서가 의료진뿐 아니라 약사, 보호자, 환자들에게도 통증 관리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