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디스커버리센터 전경 / 삼양바이오팜

삼양바이오팜이 24일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신규 상장했다. 상장 주식수는 743만 5870주다.

이번 상장은 삼양홀딩스에서 인적 분할된 이후 직상장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에 따라 삼양홀딩스 기존 주주는 기존법인과 신설법인의 지분을 동일 비율로 배정받아 별도의 공모 청약 절차 없이 상장이 이뤄졌다.

삼양바이오팜은 상장을 통해 기업의 성장 잠재력과 기술력을 시장에서 독립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삼양바이오팜 측은 해외 파트너 및 글로벌 투자자들에 대한 신뢰도 제고, 연구개발(R&D) 및 글로벌 사업 확장 자금 확보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삼양바이오팜은 인적분할을 계기로 스페셜티(고기능성) 기반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동사는 1993년 국내 최초로 생분해성 수술용 봉합사 개발에 성공한 기업으로 현재 글로벌 봉합원사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약 50개국, 200여 개 기업에 원사를 공급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항암제 사업도 지속 성장 중이다. 삼양바이오팜은 고형암 7종, 혈액암 5종 등 폭넓은 항암제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왔다.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세포독성 항암제를 국산화하고 개량신약 개발을 이어오면서 경쟁력을 강화해왔다.

최근에는 연간 500만 바이알 생산이 가능한 세포독성 항암주사제 전용 공장을 준공했다. 해당 공장은 미국 cGMP 기준에 따라 설계됐으며 국내 항암주사제 공장 중 유일하게 유럽과 일본 GMP 인증을 동시에 획득한 시설이다.

삼양바이오팜은 차세대 핵산 기반 신약 개발의 핵심 플랫폼인 유전자전달체 ‘SENS(Selectivity Enabling NanoShell)’ 기술 개발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SENS는 siRNA, mRNA 등 핵산 치료제를 간·폐·비장 등 특정 조직의 특정 세포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약물 전달 시스템(DDS) 기술이다.

기존 지질나노입자(LNP)의 한계를 보완한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 전달체로 표적 정확성을 높이고 부작용 가능성을 줄인 것이 장점이다. 회사는 이를 활용한 다양한 신약 개발을 추진 중이다.

삼양바이오팜은 생분해성 고분자 기술을 바탕으로 미용성형 시장에서도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2019년 리프팅 실 브랜드 ‘크로키’를 출시했고, 2022년에는 PCL(폴리카프로락톤) 기반 필러 ‘라풀렌’을 출시했다.

라풀렌은 2023년 인도네시아에서 공식 출시됐으며 같은 해 중국 의료기기·에스테틱 전문기업 항저우 이신텐트(Hangzhou Yxintent)와 글로벌 수출 파트너십도 체결해 해외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김경진 대표는 “이번 상장은 삼양바이오팜의 기술력과 성장성을 독립적으로 평가받는 전환점”이라며 “회사가 가진 경쟁 우위를 바탕으로 기업가치 제고에 주력해 그룹 전체의 밸류에이션 향상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