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 사진 우측)은 지난 25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과 ‘데이터 기반 국민건강을 위한 체감형 서비스 발굴 데이터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고 국민 건강을 위한 체감형 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 기관은 지난 25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보건의료 데이터와 인공지능 전문성을 결합한 협력 체계를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활용을 위해 실효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기관 간 필요한 자료를 상호 제공·공유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건보공단은 지능정보원이 운영하는 ‘AI 허브’와 데이터를 연계해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공단은 현재 누리집과 ‘The건강보험’ 모바일 앱에서 제공 중인 ‘건강모아’ 서비스에 인공지능 기능을 반영해 고도화할 계획이다.

향후 국민들은 더욱 편리하게 자신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 주도적인 건강관리를 실천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정부·공공기관 중 유일한 인공지능(AI) 기술 전문기관인 지능정보원은 지난해부터 공단과 협력해 음식·영양 정보 제공 서비스 고도화에 나서왔다.

이번 협약을 통해 협력 범위는 데이터 활용을 넘어 인공지능 생태계 조성까지 확장된다. 지능정보원은 그간 축적해온 경험과 노하우를 공단과 공유하며 국민건강관리 분야에서 AI 기술의 실질적인 적용을 이끌어갈 방침이다.

정기석 이사장은 “양 기관이 보유한 방대한 보건의료 데이터와 인공지능 전문성을 결합해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을 추진함으로써 인공지능 대전환의 시대에 국민의 건강 향상과 편익을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협약이 단순한 기관 간 협력을 넘어 국민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으로 돌아올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협약은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의 발전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건보공단과 지능정보원은 앞으로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AI 기반 건강관리 혁신 모델을 선보이며, 인공지능 보건의료 서비스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워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