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제약,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국내 생약 원료 황해쑥 산업화 확대 업무협약 체결 / 동아제약

동아제약이 국내 생약 원료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산 황해쑥 품종 산업화에 나섰다.

동아제약은 24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황해쑥 ‘평안애’의 산업화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동아제약은 이미 황해쑥추출물을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허가받아 ‘위 점막을 보호해 위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이라는 기능성을 확보했다.

이 추출물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성인 93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12주간의 인체적용시험에서 위장관 증상 평가척도(GSRS)가 유의미하게 개선된 결과를 확인해 과학적 근거를 입증했다.

황해쑥의 기초 원료 안정적 확보를 위해 마련된 이번 협약은, 연구 성과를 실제 산업화 단계로 확장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업무협약의 중심에 있는 황해쑥 ‘평안애’는 농촌진흥청이 2024년 품종 등록을 마친 국산 품종으로 이름에는 ‘속을 편안하게 하여 몸과 마음의 평안을 찾는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동아제약은 쑥의 전통적 사용례에 착안해 다양한 비임상시험을 통해 위점막 보호 효과를 검증했으며, 관련 연구 결과를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해 학문적 근거를 강화해왔다.

이번 협약에 따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황해쑥 ‘평안애’의 육성 및 보급, 농가와 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담당하고 동아제약은 원료의 효능 연구와 기능성 제품 개발을 맡는다.

또한, 생산 농가는 원료의 안정적 생산과 품질 관리에 기여하며 국산 생약 산업 발전에 동참한다.

동아제약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협력은 단순한 연구를 넘어 농가와의 연계를 통한 실질적인 산업화 모델을 구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구기관은 품종 육성과 보급을, 기업은 효능 검증 및 제품 개발을 농가는 원료 재배와 품질 유지를 맡아 삼자 협력 구조를 강화하게 된다.

윤춘희 연구소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국산 원료의 안정적 수급 체계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국산화 품종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 소재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평안애의 효능 연구를 심화하고 차별화된 제품을 선보여 국내 생약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협약은 국산 생약 원료의 산업적 가치와 가능성을 확대하고, 위 건강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성 제품 개발로 이어질 전망이다.

동아제약은 전통 생약을 현대적 과학기술로 접목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할 수 있는 국산 기능성 원료 산업화를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