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병원들이 여전히 장애인 표준사업장 물품 의무구매비율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국립대병원이 법적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적을 보이며 제도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이 국립대병원 11곳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4년 기준 11곳 중 6곳이 의무구매비율 0.8%를 달성하지 못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제주대병원이 0.02%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서울대병원(0.03%), 충남대병원(0.04%) 역시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반면 경북대병원은 10.17%로 가장 높은 구매비율을 달성했고, 부산대병원(1.19%), 경상국립대병원 분원(1.14%) 등은 기준을 웃돌았다.
국립대병원별 증감 추이를 보면 실적의 흐름은 병원마다 엇갈렸다. 강원대병원은 2023년 2.27%에서 2024년 0.58%로 오히려 하락했으며 전북대병원은 2023년 0.32%에서 2024년 1.02%로 크게 늘어나며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서울대병원은 의무구매비율 자체는 미달했으나 구매액에서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였다. 2022년 28만 1,440원, 2023년 1,368만 8,420원, 2024년 2억 3,464만 5,012원으로 2년 만에 약 8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는 약 5억 8,000만 원을 집행한 것으로 나타나 개선 의지를 보이고 있다.
강경숙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국립대병원의 저조한 구매 실적 문제를 지적했으며, 당시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이 개선을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여전히 다수의 국립대병원이 기준 미달 상태인 만큼 근본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강 의원은 “국립대병원은 공공의료기관으로서 모범적으로 사회적 책무를 수행해야 한다”며 “장애인 표준사업장 물품 구매제도는 장애인의 안정된 일자리와 자립을 위한 핵심 제도이기에, 국립대병원이 의지를 갖고 책임 있게 의무구매비율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자료 공개로 국립대병원의 장애인 표준사업장 물품 구매 실적에 대한 감시와 개선 요구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