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들의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피해 상담체계 강화를 위해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와 손을 맞잡았다. 이번 협력은 보건복지 분야 특수성을 반영한 상담 체계 구축에 초점이 맞춰졌다.
현재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는 약 329만 명으로 이는 전체 산업 종사자의 11.3%에 해당한다.
이 가운데 여성 종사자가 81.6%에 달하며 전체 여성 취업자의 20.7%가 보건복지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7월 기준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보건복지 분야는 소규모 기관·사업장이 많고, 폐쇄적인 근무 환경이 일반적이다.
또한, 재활 치료, 방문형 돌봄, 재가요양, 사회서비스 등 현장의 특수성으로 인해 피해자가 성희롱이나 성폭력을 겪더라도 참고 넘어가는 분위기가 만연한 것으로 지적된다.
복지부는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의 ‘고용평등심층상담서비스’와 여성가족부의 ‘여성긴급전화1366’과 협력을 강화했다.
앞으로는 상담사들이 보건복지 분야 특성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가 마련한 교육 콘텐츠를 활용하게 된다. 이 콘텐츠는 2025년 9월부터 상담사 교육 과정에 본격적으로 도입된다.
고용평등심층상담서비스는 직장 내 성희롱, 성차별 피해에 대한 상담·자문과 일상 복귀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여성긴급전화1366은 성폭력, 스토킹, 가정폭력 등 모든 여성 폭력 피해자에게 긴급 구조, 보호, 상담을 지원하는 초기 대응 창구 역할을 한다.
복지부는 올해 사회복지 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을 시작으로 보건의료, 장기요양, 사회서비스 등 분야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상담사 교육 콘텐츠를 개발해 지속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협력 가능 분야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상담 체계를 촘촘히 보완할 계획이다.
임호근 정책기획관은 “보건복지 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한 상담 체계 구축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등과 긴밀히 협력해 현장 종사자들이 혼자 고민하지 않고, 필요한 지원을 제때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협력은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들이 보다 안전한 근무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첫걸음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