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엘 코리아는 19일 직원들을 대상으로 ‘2형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바로 알기’ 사내 질환 교육을 진행했다. / 바이엘 코리아
바이엘 코리아가 지난 19일 임직원을 대상으로 ‘2형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바로 알기’ 사내 질환 교육을 진행하며 조기 진단과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에 나섰다.
이번 교육은 당뇨병 환자 증가와 함께 만성신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심각성이 부각되는 상황에서 마련됐다.
당뇨병은 말기신장병의 주요 원인으로 국내 30세 이상 성인 약 533만 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2형 당뇨병 환자의 약 30~40%는 만성신장병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는 만성신장병이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환자가 인지하지 못한 채 조용히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이번 강연에는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김성래 교수가 참여해 ‘2형 당뇨병, 그리고 예고 없이 찾아오는 만성신장병’을 주제로 ▲정기 검진의 필요성 ▲조기 진단의 핵심 지표 ▲치료 전략 등을 설명했다.
김 교수는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신장병 환자가 투석이나 이식이 필요한 말기신장병으로 진행될 경우, 초기 단계 환자에 비해 사망 위험과 심혈관계 질환 위험이 최대 7배 이상 높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알부민뇨는 신장 손상의 초기 지표로, eGFR 수치가 정상이라도 나타날 수 있다”며 “당뇨병 환자는 매년 최소 1회 이상 두 가지 검사를 반드시 함께 받아야 하며 이미 만성신장병 진단을 받은 경우에는 질환 진행 단계에 따라 연 2~4회 추가 관찰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직원들은 이번 교육에서 소변 딥스틱 검사지를 활용한 자가검사를 체험하며 신장 상태를 스스로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 교수는 치료와 관련해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관리의 핵심은 알부민뇨를 조기에 줄이는 것”이라며 “미국당뇨병학회 가이드라인에서도 알부민뇨가 300mg/g 이상인 환자는 알부민뇨를 최소 30% 이상 줄이는 것이 권고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근 발표된 CONFIDENCE 연구 결과에서는 케렌디아(Finerenone)와 SGLT2 억제제를 병용했을 때 단독 투여군 대비 UACR(알부민뇨 지표) 감소 효과가 유의미하게 크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치료 시작 후 180일 시점에서 두 약제를 병용한 환자는 UACR 수치가 기저치 대비 평균 52% 감소했으며 이는 케렌디아 단독 투여 대비 29%, SGLT2 억제제 단독 투여 대비 32% 더 큰 감소폭이었다.
김 교수는 약물 치료와 더불어 ▲소금 하루 5g 이내 섭취 ▲단백질 0.8g/kg 이내 제한 ▲적절한 칼륨·인·수분 섭취 ▲꾸준한 운동과 체중 유지 ▲혈당·혈압·알부민뇨·지질 관리 등을 통한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정현정 심혈관 및 신장 질환 치료제 포트폴리오 리드는 “환자 중심의 혁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임직원들이 질환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조기 진단의 중요성에 공감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조기 진단과 관리의 필요성을 알리고 더 많은 환자들이 케렌디아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