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전경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가 생계 위기에 놓인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먹거리 기본보장 코너(그냥드림)’ 사업을 12월부터 시행한다.

복지부는 20일 신한금융그룹,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한국사회복지협의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전국 단위의 민·관 협력 지원체계 구축에 나섰다.

먹거리 기본보장 코너는 사업장을 방문한 시민에게 1인당 3~5개의 먹거리 또는 생필품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단순한 물품 제공에 그치지 않고 반복 방문 등 위기 징후가 발견되면 즉시 읍면동 맞춤형복지팀 등과 연계해 위기가구를 조기에 발굴하는 선제적 복지 모델이다.

이번 사업은 코로나19 시기 서울 영등포구 ‘0원마켓’, 경기도 ‘먹거리 그냥드림’, 대구 ‘키다리나눔점빵’ 등에서 추진됐던 지역 단위 지원 사업의 성과를 기반으로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형태다. 당시 해당 사업들은 기본 식생활 지원과 함께 위기가구 발굴에 실질적 성과를 거둔 바 있다.

20일 진행된 이번 업무협약에서 각 기관은 역할을 분담했다. 복지부는 사업 총괄과 제도 개선을 담당하며 신한금융그룹은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년간 총 45억 원을 지원한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기부금 운용과 사업 모니터링을 맡고, 한국사회복지협의회는 수행기관 연계망 구축과 홍보를 담당한다.

복지부는 이번 협업을 통해 ‘먹거리 제공–위기가구 발굴–지역사회 복지 연계’로 이어지는 복지안전망이 전국적으로 체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간기업의 참여를 통해 사회공헌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민관협력 모델 구축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정은경 장관은 “신청서류 부담이나 사회적 편견으로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는 이들이 여전히 존재한다”며 “이번 사업은 누구나 부담 없이 먹거리를 지원받을 수 있게 하고 이후 위기가구 지원체계로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민·관이 함께 만드는 촘촘한 사회안전망이 취약계층 발굴과 지원에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기본적인 생계 지원은 취약계층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핵심 과제”라며 “위기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