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ST, ‘CPHI Worldwide 2025’서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 동아에스티
 
동아에스티는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의약품 전시회 ‘CPHI Worldwide 2025’에 참가해 연구개발(R&D) 역량과 자체 신약,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선보이며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대했다고 31일 밝혔다.
동아에스티는 2011년부터 매년 CPHI에 꾸준히 참가해왔으며 2013년부터는 계열사 에스티팜과 공동 부스를 마련해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네트워킹을 강화해왔다. 올해 역시 공동 전시 부스를 운영하며 다양한 해외 기업들과의 협력 기회를 모색했다.
이번 전시에서 동아에스티는 ▲R&D 및 생산 역량 ▲자체 개발 신약인 당뇨병 치료제 <슈가논>(성분명 에보글립틴) ▲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 ▲심전도 원격 모니터링 플랫폼 <하이카디(HiCardi)> 등을 중심으로 회사의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을 적극 홍보했다.
전시 기간 동안 동아에스티는 전 세계 70여 개국, 150여 개 제약·바이오 기업과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했다. 
주요 논의 주제는 원료의약품 수출, 기술 이전, 현지 생산, 해외 수출 확대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협력 기회를 구체화했다.
특히 이번 박람회 현장에서 글로벌 파트너십 계약이 잇달아 체결됐다. 동아에스티는 튀르키예 상위 제약사인 Berko Pharma와 자체 개발 당뇨병 치료제 ‘DA-1229(성분명: 에보글립틴)’의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에 따라 동아에스티는 Berko Pharma로부터 계약금과 개발 단계별 기술료를 수령하고 DA-1229의 원료의약품을 공급한다. Berko Pharma는 튀르키예 권역 내에서 임상, 허가, 현지 생산 및 판매를 담당하게 된다.
에보글립틴은 DPP-4 효소 선택성이 높아 적은 용량으로도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를 보이며, 약물 대사 간 상호작용이 적어 다약제 복용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는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에서는 ‘슈가논’이라는 제품명으로 판매 중이다.
Berko Pharma는 튀르키예 내 매출 기준 12위권 제약사로, EU-GMP 인증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당뇨병·심혈관·빈혈·감염질환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 중이다. 
튀르키예의 당뇨병 시장은 2024년 기준 약 5억 9천만 달러 규모이며 이 중 DPP-4 억제제가 약 25%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동아에스티는 동유럽 제약사 Novatin과 심전도 원격 모니터링 플랫폼 <하이카디>의 해외 진출을 위한 업무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양사는 체코, 크로아티아, 슬로바키아, 몰타 등 4개국에서 하이카디 상용화를 공동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Novatin은 동유럽 지역에서 당뇨 및 심혈관 질환 전문의약품을 공급하는 제약사로, 최근 디지털 헬스케어 및 의료기기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체코 등 일부 국가에서는 2026년부터 홀터 모니터링 보험 적용이 예정되어 있어 원격 심전도 모니터링 솔루션 수요가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하이카디는 웨어러블 패치와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실시간 생체신호(심전도, 심박수, 체표면 온도, 호흡 등)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바일 헬스 플랫폼이다. 
가벼운 패치형 기기 구조로 기존 심전도 장비의 불편함을 개선했으며, 환자와 의료진 모두의 편의성을 높였다.
동아에스티 관계자는 “CPHI는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이 한자리에 모이는 글로벌 비즈니스의 장으로, 이번 전시를 통해 동아에스티의 연구개발 역량과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며 “향후에도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CPHI Worldwide 는 완제의약품, 원료의약품, 위탁생산(CMO), 임상시험수탁(CRO) 등 제약·바이오 전 분야 기업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산업 전시회로 매년 유럽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열린다. 
올해 행사는 28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하고 5만 8000여 명 이상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