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 전경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25년 국정감사 지적에 따른 사후조치의 일환으로 2024년도 국가암검진에서 ‘이상소견’ 판정을 받은 수검자의 3개월 내 후속진료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30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국가암검진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암 의심자에 대한 조기 진료 연계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실시됐다.

분석 결과 2024년 국가암검진 이상소견자 중 검진일 기준 3개월 이내 후속진료를 받은 비율은 대장암이 96.4%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위암 82.1% ▲유방암 75.1% ▲폐암 74.1% ▲자궁경부암 50.5% ▲간암 20.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간암의 후속진료율이 낮게 나타난 이유에 대해 공단은 “간암 발생 고위험군의 경우 6개월 주기로 추적관찰을 시행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간암 고위험군은 ▲최근 2년간 요양급여 내역에 간경변 등 간질환 관련 급여 이력이 있는 사람 또는 ▲B형간염표면항원(HBsAg) 또는 C형간염항체(HCV Ab) 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인된 사람을 의미한다.

건보공단이 제시한 세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국가암검진 결과 이상소견자로 판정된 인원은 위암 6854명, 대장암 929명, 간암 92,413명, 자궁경부암 18,139명, 유방암 7965명, 폐암 4340명이었다.

이 중 3개월 내 진료를 받은 인원은 각각 ▲위암 5,624명(82.1%) ▲대장암 896명(96.4%) ▲간암 18,927명(20.5%) ▲자궁경부암 9,161명(50.5%) ▲유방암 5,981명(75.1%) ▲폐암 3,217명(74.1%)으로, 모든 암종에서 기존 대비 후속진료율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궁경부암과 폐암의 후속진료율은 전년 대비 각각 121.6%, 329.5% 증가하며 사후관리 체계가 강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번 조사를 위해 국립암센터의 자문을 받아 각 암종과 연관성이 높은 질병코드를 기준으로 3개월 내 후속진료 여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일부 지역에서는 검진 후 이상소견 통보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일정 기간 내 진료로 이어지지 않는 사례가 확인돼 검진 이후 사후관리 체계의 개선 필요성이 제기됐다.

현재 국가암검진은 전국민을 대상으로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폐암 등 6대 암종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검진기관은 결과를 수검자에게 우편 등으로 통보하며, 모든 이상소견자에게는 ‘추가검사·치료 또는 관찰 필요’ 사항을 명시해 안내하고 있다.

또한, 폐암검진의 경우 2019년 7월부터 ‘사후결과 상담’을 신설해 검진결과에 대한 의료적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강화했다.

건보공단 관계자는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확한 진료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 마련 ▲사후관리 대상자 선정 기준 정립, ▲후속진료 연계체계 강화 방안을 보건복지부 및 국립암센터와 함께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암 의심 판정자들이 조기에 진료를 받고 암을 발견할 수 있도록, 진료 이용 안내 및 사후관리 지원 체계를 한층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국가암검진제도가 단순한 검진을 넘어 ‘조기 진단과 치료 연계’라는 본래의 목적을 얼마나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건보공단은 향후 관련 기관들과 협력해 검진 결과 이상소견자의 진료 연계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제도 개선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