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10일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컨소시엄 주관기관의 최고정보책임자(CIO)들과 함께 의료 인공지능(AI) 지원 방안을 주제로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의료데이터 활용 확대와 AI 기술개발, 나아가 제품 실증 지원까지 전 과정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논의의 장으로 마련됐다.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사업은 병원에 축적된 방대한 의료데이터를 디지털 의료연구와 산업 발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추진 중인 핵심 사업이다.
현재 이 사업에는 ▲고려대병원 ▲부산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세브란스병원 ▲한림대성심병원 등 7개 컨소시엄이 주관기관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전국 43개 의료기관이 함께 협력하고 있다.
이들 의료기관은 고품질의 임상 데이터를 연구자와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제공하며 의료 AI 생태계 조성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맡고 있다.
복지부는 내년부터 의료 AI 연구개발을 위한 기업 지원을 한층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연구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의료데이터를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도록 바우처(이용권) 지원을 올해 8개 과제에서 내년 40개 과제로 대폭 확대한다.
또한, 의료 AI 제품과 솔루션이 실제 임상 환경에서 활용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실증 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해 20개 제품·솔루션을 대상으로 지원을 제공할 방침이다.
이는 단순히 데이터 제공을 넘어 개발된 기술이 실제 의료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제도적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핵심은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이 단순한 데이터 제공처를 넘어 기업과 함께 연구설계 단계부터 제품 실증에 이르는 전 과정을 아우르는 역할을 강화한다는 점이다.
의료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연구개발이 현장에서 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데이터 품질 관리, 임상 연계, 실증 공간 제공 등이 체계적으로 지원된다.
이형훈 제2차관은 “의료기관은 의료 AI 기술개발의 핵심 자원인 의료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AI 제품과 솔루션의 실제 수요처로서 연구설계와 실증까지 지원이 가능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앞으로도 현장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의료 AI 발전을 위해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의료데이터 활용이 국내 의료 AI 산업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는 의료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기술개발과 실증 지원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임을 예고하며 정부와 의료기관, 기업이 협력하는 새로운 의료 AI 생태계의 방향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