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우 교수 / 고려대 안암병원

장진우 고려대 안암병원 신경외과 교수가 최근 뇌심부자극수술(Deep Brain Stimulation, 이하 DBS) 100례를 달성했다.

이는 장 교수가 지난해 3월 안암병원에 부임한 이후 약 1년여 만에 거둔 성과로 국내 신경외과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DBS는 파킨슨병과 수전증(본태성 떨림) 등 운동장애질환은 물론 강박장애, 난치성 우울증 등 정신질환에도 적용되는 고난도 수술로 뇌의 특정 부위에 전극을 삽입해 전기 자극을 가함으로써 이상 증상을 조절하는 치료법이다.

환자 맞춤형 뇌 회로 진단과 고도의 수술 기술이 필수인 이 수술은 국내외에서 신경외과적 치료의 최전선으로 간주된다.

장진우 교수는 2000년 2월 국내 최초로 DBS 수술 기법을 도입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이후 운동장애 치료에 국한되었던 DBS의 적용 범위를 강박장애, 뇌전증, 난치성 통증 등으로 확장하며 국내 DBS 치료의 지평을 넓혀왔다.

현재 장 교수는 안암병원에 ‘초음파 뇌수술센터’를 설립하고, 고집적 초음파 기술을 활용한 비침습 치료 분야에도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이를 통해 DBS와 초음파 뇌수술을 통합한 ‘난치성 뇌질환 첨단 치료센터’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치매·우울증·마약중독 등 복합적 신경계 질환의 통합 치료체계를 선도하고 있다.

장 교수는 “100례 수술 달성은 고려대 안암병원이 난치성 신경계 질환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치료역량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축적된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다 정교하고 안전한 수술법을 개발해 환자들에게 희망이 되는 치료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장진우 교수는 진료와 연구뿐 아니라 학문적 권위자로서의 행보도 눈에 띈다. 그는 2024년 9월,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세계정위기능신경외과학회 학술대회에서 국내 최초로 ‘로널드 R. 태스커 상(Ronald R. Tasker Award)’을 수상했다.

이 상은 세계적으로 뛰어난 정위기능신경외과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장 교수의 국제적 위상을 다시금 입증했다.

그는 현재 아시아태평양 뇌치료 초음파학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과거 세계정위기능신경외과학회 회장, 아시아오세아니아정위기능신경외과학회 회장, 대한신경외과학회 이사장, 대한정위기능신경외과학회 회장, 대한치료초음파뇌수술학회 회장, 대한통증연구학회 회장, 대한뇌신경장애연구학회 회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이처럼 임상 현장과 학술 무대를 넘나들며 국내외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장진우 교수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뇌신경치료 분야의 선구자이자, 뇌질환 치료의 미래를 열어가는 주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