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현구, 이준희, 구병모, 장유진 교수 / 고대구로병원
고대구로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현구 교수 연구팀이 식도암 수술 분야에서 단일공 로봇수술의 임상적 유용성과 안전성을 세계 최초로 입증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종양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 ‘Cancers’ 최근호에 게재되며 식도암 수술의 새로운 표준 수술법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번 연구는 고대구로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현구, 이준희, 구병모 교수와 위장관외과 장유진 교수팀이 공동으로 수행했다.
연구팀은 단일공 로봇 식도수술의 임상적 유용성과 안전성을 기존 다개공 로봇수술 및 흉강경 수술과 비교 평가했다.
2017년 2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고대구로병원에서 식도암 수술을 받은 총 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진행했으며 수술법에 따라 단일공(SP) 로봇수술 그룹(17명), 다개공 로봇수술 그룹(13명), 흉강경 수술 그룹(23명)으로 분류해 비교 연구를 시행했다.
식도암은 다양한 치료법이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5년 생존율이 20% 미만에 머물 정도로 예후가 좋지 않은 암종이다.
특히 식도암 수술은 고난도의 수술로 손꼽히며 환자의 회복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고대구로병원 연구팀은 2023년 세계 최초로 단일공 로봇 식도암 수술 사례를 유럽 심장흉부외과 학회지에 보고한 바 있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단일공 로봇수술의 임상적 타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단일공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흉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들과 비교했을 때 수술 후 흉관 유지 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짧았다.
또한, 수술 후 최고 통증 점수도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입원 기간 역시 평균 5일 정도 짧았다.
이는 단일공 로봇수술이 환자들의 빠른 회복과 통증 감소에 있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단일공 로봇수술 그룹에서는 수술 중 개흉 수술이나 흉강경 수술로 전환하는 사례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아 높은 수술 완결성과 안정성을 증명했다. 다개공 로봇수술 및 흉강경 수술 그룹과 비교해도 안전성과 효과 면에서 동등한 결과를 보였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준희 교수는 “앞으로 장기적인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이어진다면, 단일공 로봇수술이 식도암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구병모 교수는 “최소 침습적 접근의 장점을 극대화한 단일공 로봇수술이 향후 보다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 연구”라고 강조했다.
장유진 교수는 “단일공 로봇수술은 환자에게 보다 안전한 수술 환경을 제공할 뿐 아니라, 향후 표준 치료법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며 “이를 통해 식도암 환자들에게 보다 향상된 치료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김현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세계 최초로 단일공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식도절제술의 임상적 타당성과 실질적 이점을 입증한 사례”라며 “단일공 로봇수술이 향후 식도암 수술 분야에서 새로운 표준 수술법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연구 결과”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발표된 논문의 제목은 ‘Single-Port Robot-Assisted Minimally Invasive Esophagectomy Using the Single-Port Robotic System via the Subcostal Approach(늑하부 접근을 통한 단일공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단일공 로봇 보조 최소 침습 식도절제술)’로 식도암 수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