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23년 급여의약품 지출현황 분석 결과 총 약품비가 26조 1966억 원으로 전년 대비 8.5%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2022년 약품비 24조 1542억 원에서 2조 원 이상 증가한 수치다.
2023년 전체 진료비가 110조 8,029억 원으로 전년 대비 4.7% 증가한 것과 비교해 약품비 증가율은 2배에 달하며 진료비 중 약품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23.6%로 전년 대비 0.8%p 상승했다.
2022년 기준 한국의 경상의료비 중 의약품 지출 비율은 18.0%로 OECD 평균 14.2%를 크게 웃돌며 OECD 국가 중 7위로 나타났다.
멕시코(21.0%)에 이어 높은 수준으로, 의약품 지출이 전체 의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두드러졌다.
정부는 암 및 희귀질환 치료제의 건강보험 적용 확대와 필수 의약품 급여화를 적극 추진해 왔다.
2022년에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치료제 킴리아주 등 22개 약제에 급여 적용을 했으며 2023년에는 척수성 근위축증 치료제 에브리스디 등 24개 약제를 급여화하고 중증 아토피 치료제 등 8개 약제의 사용범위를 확대했다.
그 결과, 2023년 암 치료에 사용된 급여 약품비는 3조 8402억 원, 희귀난치질환 치료 약품비는 2조 5492억 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10.8%와 9.7% 증가했다. 이는 전체 약품비 증가율(8.5%)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60대 환자의 약품비는 6조 6,000억 원으로 전체의 25.2%를 차지해 가장 높았다. 이어 70대(5조 2000억 원), 50대(4조 4000억 원), 80대(3조 1000억 원) 순이었다. 60대 이상의 약품비 비중은 전체의 58.1%에 달했다.
요양기관별로는 약국 청구액이 18조 원으로 전체의 68.9%를 차지했으며 상급종합병원(3조 8000억 원), 종합병원(2조 2000억 원), 의원(1조 1000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효능군 중에서는 동맥경화용제(고지혈증 치료제)가 2조 8490억 원으로 가장 높은 지출을 기록했으며, 항악성종양제(2조 7336억 원), 혈압강하제(2조 원), 소화성궤양용제(1조 3904억 원), 당뇨병용제(1조 3667억 원)가 뒤를 이었다.
성분군에서는 고지혈증 치료제인 에제티미브+로수바스타틴 복합제가 6058억 원으로 가장 많이 지출됐으며 콜린 알포세레이트(5630억 원), 아토르바스타틴(5587억 원), 클로피도그렐(4179억 원), 로수바스타틴(3377억 원)이 뒤를 이었다.
건보공단 관계자는 “고가 항암제와 유전자 치료제 등 신약의 급여 등재와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 증가로 약품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필수 의약품의 보장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오남용 방지와 불필요한 처방을 줄이기 위한 관리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건보공단 소속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해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률이 86.8%에 이른다는 분석을 발표하며 다제약물관리 모델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건보공단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건강보험 재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면서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안티에이징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