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중부권–수도권 잇는 ‘K-치의학 메가클러스터’ 완성 단계 진입 / 천안시

천안시가 충청남도,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GBSA)과 손잡고 중부권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치의학·바이오 산업의 초광역 혁신축을 완성하는데 한 걸음을 내디뎠다.

천안시는 24일 세 기관이 치의학 및 바이오 산업의 전주기(연구–평가–허가–사업화–수출)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천안을 중심으로 충남·충북 중부권의 연구개발 기반과 수도권 판교·광교 테크노밸리의 디지털 사업화 역량을 결합해 ‘K-치의학 메가클러스터’의 핵심 퍼즐을 완성하는 계기가 됐다. 특히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설립 추진에 실질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협약에 따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수도권의 기술·사업화 역량을 천안·오송·원주로 이어지는 중부권 의료기기·바이오 산업축과 연계하는 중심 허브 역할을 맡는다.

중부권은 이미 연구 및 의료기기 특화 인프라가 탄탄한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어 GBSA와의 협력은 클러스터 형성에 결정적 동력이 될 전망이다.

주요 협력 내용은 ▲네트워킹·세미나·워크숍 등 정보 및 인재 교류 ▲치의학(디지털 덴티스트리 포함), 의료기기·바이오 분야 공동 연구개발 및 실증 협력 ▲규제·인증·평가 등 정책·제도 정보 공유 ▲기업 보육·멘토링·투자유치설명회(IR)·판로개척 등 기업성장 전주기 지원 ▲컨퍼런스·전시·포럼 등 공동 홍보 및 행사 협력 이다.

천안시는 GBSA가 보유한 기업 기술지원과 글로벌 진출 노하우에 지역의 강력한 R&D 역량을 결합함으로써 지역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전주기 지원 모델을 완성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천안시는 최근 몇 년간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설립을 국가적 의제로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왔다.

단국대,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등과는 기초 연구 및 인증 기반을 마련했으며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원주의료기기산업진흥원과의 협력을 통해 초광역 산업 연계망도 이미 확보한 상태다.

특히 천안은 KTX·SRT·전철·고속도로 등 전국 1~2시간 생활권을 갖춘 교통 요충지로 판교·오송·대덕 등 주요 R&D 거점과의 접근성이 뛰어난 점이 최대 강점으로 꼽힌다.

이번 협약으로 천안은 치의학·바이오 전 분야를 잇는 ‘입지·연구·사업화’ 삼박자를 모두 갖춘 최적의 도시로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오송–천안–판교–광교로 이어지는 치의학·바이오 초광역 클러스터가 사실상 완성됨에 따라 천안은 대한민국 치의학 연구·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도약할 기반을 확실히 마련했다.

김석필 천안시장 권한대행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의 협력으로 K-치의학·바이오 산업이 천안 중심에서 중부권을 넘어 수도권까지 확장되는 구조가 완성됐다”며 “천안은 연구–산업–인재–임상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국 유일의 도시로, 이번 협약을 토대로 국가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천안시는 앞으로도 치의학·바이오 산업 생태계를 더욱 고도화하고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설립을 위한 실질적 발판 마련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