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구로병원, 임신 24주 590g, 670g 초극소 저체중 우즈벡 쌍둥이 100일 잔치 / 고대구로병원

낯선 나라 한국에서 임신 24주, 각각 590g과 670g의 초극소 저체중으로 태어난 우즈베키스탄 쌍둥이 형제가 고려대 구로병원의 첨단 의료기술과 체계적인 진료 시스템 덕분에 건강하게 100일을 맞이했다.

두 아이는 출생 직후부터 인공호흡기에 의존해야 하는 위중한 상태였으나 의료진의 헌신적인 치료와 집중 관리 끝에 현재는 스스로 호흡이 가능할 만큼 회복해 퇴원을 앞두고 있다.

지난 7월 20일,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울리 씨는 임신 24주 차에 갑작스러운 진통으로 인근 병원 응급실을 찾았다.

그러나 당시 병원은 고위험 조산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국가지정 권역모자의료센터인 고려대 구로병원으로 신속히 전원 조치가 이뤄졌고, 의료진은 응급 제왕절개 수술을 통해 산모와 쌍둥이 형제의 생명을 지켜냈다.

출생 당시 몸무게가 각각 590g과 670g에 불과했던 첫째 자이드와 둘째 주바이르는 뇌, 심장, 호흡기 등 모든 장기가 미성숙해 즉시 인공호흡기에 의존해야 했다.

고려대 구로병원 신생아중환자실(NICU) 의료진은 출생 직후부터 24시간 밀착 치료를 시작했으며, 소아호흡기·심장·신경·신장·소화기영양 등 각 분야 전문의들이 팀을 이뤄 세심한 협진을 이어갔다.

그 결과 초극소 저체중아에게 흔히 발생하는 ▲동맥관개존증 ▲패혈증 ▲폐동맥 고혈압 ▲미숙아 망막증 등 주요 합병증을 모두 극복하고 단 한 번의 수술 없이 건강하게 성장했다.

소아청소년과 신승현 교수는 “출생 직후 두 아이 모두 자발호흡이 어려워 인공호흡기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체중이 2kg 안팎으로 증가했으며 둘 다 스스로 호흡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됐다”며 “각 전문분과 의료진이 한마음으로 협력한 덕분에 아이들을 지켜낼 수 있었다. 모든 의료진과 가족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산부인과 조금준 교수는 “임신 24주의 출산은 산모와 의료진 모두에게 매우 큰 부담이지만 의료팀 간의 긴밀한 협력이 뒷받침된 덕분에 아이들이 건강히 백일을 맞이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의료비 부담 또한 가족에게 큰 시련이었다. 아버지 하산보이 씨는 한국에서 유학 중이었고어머니 울리 씨는 입국한 지 3개월밖에 되지 않아 의료보험이 없었다.

장기간의 신생아중환자실 입원으로 치료비 부담이 커졌으나 고려대 구로병원 의료사회사업팀이 적극 나서 건강보험 적용을 신속히 도왔고 남촌재단을 통해 의료비 지원을 연계했다.

하산보이씨는 “가족도 없는 타국에서 아내의 갑작스러운 출산으로 막막했지만 의료진의 따뜻한 보살핌과 뛰어난 실력 덕분에 아이들이 살아났다”며 “경제적 도움까지 받으며 다시 희망을 얻었고 이 은혜를 평생 잊지 않겠다”고 감사의 뜻을 밝혔다.

신생아중환자실 최의경 실장은 “우리 병원은 초극소·저체중 미숙아부터 만삭아까지 다양한 신생아 환자를 24시간, 365일 전문 의료진이 치료하고 있다”며 “저출생 시대에 한 명의 생명이라도 지켜내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민병욱 병원장은 “고려대 구로병원은 서울 서남권 권역모자의료센터로서 고위험 임산부와 신생아를 위한 24시간 응급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이번 사례는 한 가정의 회복을 넘어 의료기관과 공익재단, 지역사회가 함께 만든 사회적 안전망의 모범사례로 앞으로도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국내외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하는 병원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초극소 저체중 우즈베키스탄 쌍둥이의 회복은 한국 의료시스템의 역량과 인간 중심의 의료 철학이 만들어낸 기적의 기록이다.

고려대 구로병원은 이번 사례를 통해 생명을 살리는 의료기관의 본질적 가치를 다시금 보여주며 국경과 언어를 넘어선 따뜻한 의료의 의미를 실천해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