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ST,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와 AI 기반 신약 개발 업무협약 체결 / 동아에스티
동아에스티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신약개발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와 손을 맞잡았다.
동아에스티는 22일 ‘AI 기반 신약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과 관련 인재 양성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AI 기술과 제약 연구개발 역량의 융합을 통해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으로 동아에스티의 임상 데이터 및 신약개발 경험과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의 AI 원천기술을 결합하는 공동연구 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AI 기반 신약개발 ▲연구데이터의 디지털 전환 ▲AI 알고리즘을 활용한 약물 설계 및 후보물질 발굴 등 공동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대 석·박사 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AI 신약개발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해 첨단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 협력도 병행한다.
양측은 중장기적으로 산학협력 체계를 더욱 확장해, 산업과 학계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AI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에 나설 방침이다.
서울대 첨단융합학부는 인공지능, 디지털 헬스케어, 의생명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한 연구로 국내 최고 수준의 AI 연구역량과 알고리즘 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범용 AI 모델 및 생명과학 응용 분야에서의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신약개발 전주기를 지원할 수 있는 기술적 경쟁력을 확보했다.
김경수 서울대 첨단융합학부 교수는 “노벨상 수상으로 그 성과가 입증된 알파폴드(AlphaFold)나 최근 임상 성공 사례들이 보여주듯, 상용화 가능한 신약개발 AI는 이제 본격적인 도약 단계에 들어섰다”며 “인공지능과 디지털 헬스케어, 의생명과학, 신약개발을 융합할 수 있는 첨단형 인재 양성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역량을 모두 갖춘 서울대학교 첨단융합학부는 대한민국 대표 제약기업 동아에스티와 함께 글로벌 상용화를 목표로 한 AI 신약개발 원천기술 확보 및 세계 시장 진출을 선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에스티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신약개발의 전 과정에 AI를 적극 도입해 연구 효율성을 높이고 개발 기간을 단축하는 혁신적 변화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정재훈 사장은 “AI는 신약개발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핵심 기술로, 이번 협력을 통해 동아에스티의 연구개발 역량에 새로운 혁신 동력을 더할 것”이라며 “서울대와의 협업을 통해 AI 기반 신약개발 속도를 가속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혁신신약을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동아에스티는 AI 기술과 제약 연구개발의 융합을 본격화하며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와 함께 미래형 신약개발 생태계 구축에 나서게 된다.
양 기관의 협력은 단순한 연구협약을 넘어 AI와 의생명과학의 융합을 통한 국가 신약개발 경쟁력 강화 라는 공통 목표 아래 추진되는 의미 있는 첫걸음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