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인순 의원 / 남인순 의원실
서울 강남구의 한 산후조리원이 2주간 특실 이용요금으로 4020만 원을 기록하며 전국에서 가장 비싼 조리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북 군산의 한 산후조리원은 일반실 120만 원, 전남 강진군 공공 산후조리원은 특실 154만 원으로, 최고가 대비 무려 33.5배 차이가 발생해 출산 비용 불평등 문제가 다시 한 번 부각됐다.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25년 6월 기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산후조리원 2주 이용 요금은 최고가 4020만 원, 최저가 120만 원으로 집계됐다.
일반실의 경우 서울 강남구 소재 A·H산후조리원이 1700만 원으로 전국 최고가를 기록했으며 최저가는 전북 군산 M산후조리원으로 120만 원에 불과했다.
특실 기준으로는 강남구 D산후조리원이 4020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전남 강진군 공공산후조리원이 154만 원으로 가장 낮았다.
특히 일반실 상위 10곳 중 7곳이 강남구에 몰려 있으며 나머지 3곳은 서울 용산구, 강서구, 경기 성남시에 위치해 있었다. 상위 10곳의 평균 요금은 1,260만 원으로 하위 10곳의 평균 요금(150.1만 원) 대비 8.4배에 달했다.
이 가운데 하위 10곳 중 6곳이 공공산후조리원으로, 전체 평균 요금을 낮추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남 의원은 보건복지부 ‘2024년 산후조리 통계’를 인용해 “산모 10명 중 8명이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만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2021년 하반기 519개소에서 2024년 하반기 460개소로 줄었고 같은 기간 일반실 평균 이용요금은 232만 원에서 355만 원으로 100만 원 이상 올랐다”고 지적했다.
이어 “산후조리 시설 수는 줄고 비용은 오르면서 산모들이 경제적 여건에 따라 시설을 선택할 권리가 점점 제한되고 있다”며 “올해 6월 기준 공공산후조리원의 일반실 평균 요금은 174만 원으로 민간 대비 절반 수준이지만 전국에 설치된 공공산후조리원은 21곳에 불과해 접근성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복지부가 올해 2월 발표한 ‘2024년 산후조리 통계’에 따르면 산모들이 가장 많이 요구한 정책은 ‘산후조리 비용 지원’(60.1%)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원 선택 기준으로는 ▲집이나 병원과의 거리(59.1%) ▲가격 대비 시설·프로그램 수준(32.5%) ▲가격 저렴함(19.9%) 순이었다.
이는 산후조리 비용 부담이 여전히 출산 이후 가정의 가장 큰 경제적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남 의원은 “2021년 제가 대표발의한 모자보건법 개정안 시행 이후 밀양, 김천, 상주, 순천, 화천, 양양, 포천, 서대문 등 8곳이 새롭게 문을 열어 공공산후조리원이 13개소에서 21개소로 늘어난 것은 의미 있는 변화지만 여전히 전체 조리원의 5%에도 못 미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공산후조리원은 민간 대비 절반 수준의 비용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출산비용 불평등 완화와 저출생 문제 대응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공공산후조리원을 지속적으로 확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산후조리원 특실의 최고가는 2021년 2주 2600만 원에서 2025년 4020만 원으로 4년 사이 1.55배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급등세가 산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만큼 합리적인 가격과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공공 인프라 확충이 절실하다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