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종태 의원 / 장종태 의원실

‘살 빼는 약’으로 불리는 마약류 식욕억제제가 20~30대 여성들 사이에서 여전히 높은 의존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회 전반에 자리한 외모지상주의와 더불어 현장의 무분별한 처방 관행이 맞물리며 부작용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장종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전체 식욕억제제 처방 환자 수는 소폭 줄었으나 1인당 처방량은 줄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남성보다 여성 환자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특정 연령대에서는 남성 대비 최대 8배 이상 많은 처방이 이뤄졌다.

연령대별 분석에 따르면 2024년 20대 여성의 식욕억제제 처방 환자는 13만3135명으로 전년(14만9041명) 대비 약 10% 감소했다. 30대 여성의 경우 2023년 25만3075명에서 2024년 23만6481명으로 약 6% 줄었다.

그러나 환자 수 감소와 달리 처방량은 줄지 않았다. 특히 30대 여성의 경우 1인당 평균 255.6정을 처방받아 전체 연령·성별 그룹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한번 복용을 시작한 환자들이 쉽게 의존성을 끊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풀이된다.

식약처는 식욕억제제를 3개월 이내 단기 처방으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의료 현장에서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식욕억제제는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된 마약류다. 단기간에는 체중 감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장기 복용 시에는 의존성과 내성이 쉽게 발생해 ▲우울감 ▲불면 ▲심장질환 등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장종태 의원은 “식욕억제제는 엄연히 마약류 의약품으로 관리되는 약물”이라며 “처방 환자 수가 줄었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1인당 처방량이 줄지 않았다는 것은 한번 시작된 의존성을 끊기가 매우 어렵다는 방증”이라며 “식약처는 처방 가이드라인을 강화하고, 정부 차원의 오남용 예방 교육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인 체중 감량 효과보다 장기적인 건강 위험이 훨씬 크다는 점에서, 의료기관뿐 아니라 사회 전체가 식욕억제제 남용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경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