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아스트라제네카, 대한소아감염학회 제29회 연수강좌에서 심포지엄 개최 /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한국아스트라제네카가 대한소아감염학회 제29회 연수강좌에서 심포지엄을 열고 소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중요성과 새로운 백신 선택지인 ‘플루미스트’의 가능성을 집중 조명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17일 개최됐으며 소아 인플루엔자의 심각성과 예방의 필요성에 대한 학술적 논의가 활발히 이어졌다.
심포지엄의 좌장은 고려대 의과대학 김윤경 교수(고려대 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가 맡았으며 가톨릭대 의과대학 이진 교수(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가 연자로 나섰다.
이 교수는 “인플루엔자는 전 세계적으로 막대한 질병 부담을 초래하며, 특히 소아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합병증 발생 위험이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2001~2002절기 핀란드 소아 대상 연구를 인용해 “소아는 인플루엔자 감염 시 중이염과 같은 합병증 발생률이 높고 미국의 2010~2019 절기 연구에서는 입원 소아 10명 중 2명이 중환자실 치료를 필요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소아는 가정과 지역사회 내 인플루엔자 전파에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노년층의 발병률과 사망률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소아 예방접종의 사회적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 교수는 이어서 소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새로운 선택지로 비강 스프레이 방식의 생백신인 ‘플루미스트’를 소개했다.
플루미스트는 코 점막을 통해 투여되어 자연 면역과 유사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는 “2004~2005절기 5세 미만 소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플루미스트를 접종한 군은 불활성화 백신을 접종한 군에 비해 인플루엔자 질환 발생률이 54.9% 낮았다”고 밝혔다.
또한 “24~59개월 소아 대상 연구에서도 플루미스트 접종군이 불활성화 백신군보다 바이러스주 일치 여부와 관계없이 더 높은 예방 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플루미스트는 높은 예방 효과와 비침습적 나잘스프레이 방식 덕분에 소아의 접종 편의성을 높여 접종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지역사회 전체의 집단면역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경 교수는 “인플루엔자 확산 억제의 핵심은 소아의 예방접종률 향상에 있다”며 “플루미스트는 비강 스프레이 방식으로 아이들의 거부감을 줄이고 우수한 예방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혁신적인 백신으로 소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호흡기면역사업부 김지영 전무는 “플루미스트는 소아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인플루엔자로 인한 질병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소아 백신 접종 중요성을 알리고, 플루미스트 접종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플루미스트인트라나잘스프레이는 지난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만 24개월 이상 49세 이하 소아 및 성인에서 인플루엔자 A형 및 B형 바이러스에 의한 인플루엔자 질환 예방 용도로 허가를 받았다. 이에 따라 향후 국내 임상 현장에서 플루미스트의 활용도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