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진 교수 / 고려대 안산병원

일상 속 사소한 습관이 피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손톱 주변에 일어나는 거스러미(살조각)를 무심코 뜯는 행위는 손톱 주변 염증 질환인 ‘조갑주위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손발톱 건강을 지키기 위해 청결 유지와 보습, 그리고 평소 습관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박 모 씨(33세)는 평소 손톱 주변에 생긴 거스러미를 뜯는 버릇이 있었다.

어느 날 손톱 옆이 벌겋게 부어올랐지만 통증이 없어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그러나 며칠 후 해당 부위에 고름이 차고 열감이 느껴지기 시작하면서 증상이 심해졌고 병원을 찾은 결과 ‘조갑주위염’ 진단을 받았다.

조갑주위염은 ‘생인손’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질환으로 손톱 또는 발톱 주변에 염증이 생기는 피부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손발톱 주변의 붓기, 홍반, 열감, 통증 등이 있으며, 증상이 심해지면 누런 고름이 차는 농포가 생기기도 한다.

이 질환은 대부분 손톱 주변의 거스러미를 무심코 뜯거나, 손톱을 물어뜯는 습관에서 시작된다.

찬바람이 불어 피부가 건조해지기 쉬운 겨울철, 또는 네일아트 등으로 손톱 주위 피부가 자극을 받는 경우에도 쉽게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작은 상처나 찢어진 피부 틈으로 세균이 침투하면서 염증으로 번지게 된다.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손톱 주변에 거스러미가 생기지 않도록 관리하고, 손발톱 청결과 보습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손톱을 과도하게 짧게 깎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거스러미가 생겼을 경우 손이나 치아로 뜯지 말고 위생적으로 관리된 가위나 손톱깎이를 이용해 손끝 방향으로 조심스럽게 제거해야 한다.

이때 제거한 부위는 소독 후 핸드크림이나 오일 등 보습제를 발라 피부 보호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거지나 세탁 등 물에 자주 노출되는 가정 내 활동 시에는 반드시 고무장갑을 착용해야 하며 네일아트나 매니큐어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는 손톱 주위 피부의 손상을 줄이고 감염 가능성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조갑주위염은 경우에 따라 자연 치유되기도 하지만 감염이 심해질 경우 손발톱이 탈락하거나 ‘봉와직염’으로 번져 전신 증상을 동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거나 부기가 심해지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신정진 고려대 안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조갑주위염은 특별한 예고 없이 갑자기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일상 속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질환”이라며 “손발톱 주변의 위생과 수분 유지는 예방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단순히 가벼운 피부 트러블로 넘기기보다 증상이 심화되면 조기에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