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크 라이프사이언스·KAIST, 산학 협력 1주년 맞아 보스턴서 성과 공유 워크숍 개최 / 머크 라이프사이언스
머크 라이프사이언스와 KAIST가 산학 협력 1주년을 맞아 글로벌 바이오 생태계의 중심지인 미국 보스턴에서 공동 워크샵을 개최하고 그간의 협력 성과를 공유하는 한편 향후 공동 연구 방향과 기술혁신 전략을 논의했다.
한국 머크 라이프사이언스는 지난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머크-KAIST 워크샵’을 미국 매사추세츠주 벌링턴에서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워크샵은 지난해 5월 양측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후 1년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산학 공동연구의 지속 가능성과 미래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워크샵 첫날은 2026년 머크 연구 과제(Challenges)에 대한 소개로 시작됐으며 머크가 추진 중인 공동연구의 핵심 주제와 KAIST의 참여 기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머크의 벌링턴 소재 엠랩(M Lab) 시설을 직접 방문해 연구 인프라를 둘러보고 공동 운영위원회 회의를 통해 기존 과제의 진척 상황과 향후 협력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둘째 날에는 ‘오픈 이노베이션 교류’ 세션과 함께 제1회 ‘Merck Fellow Award’ 시상식이 열렸다.
이 상은 머크의 연구 전략과 부합하는 우수 연구성과를 인정하고 KAIST 교수진의 연구 상용화 가능성과 기술 완성도를 평가해 수여되는 것으로 올해는 KAIST 교수 3인이 수상자로 선정됐다.
해당 수상은 향후 양측 간 연구 인재 육성 및 상호 기술 교류의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특히 AI 기반 신약 개발, 랩 오토메이션, 지속가능한 생명과학 연구 환경 구축 등 혁신 분야에서의 전략적 협력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머크는 이러한 기술 영역을 중심으로 KAIST와 함께 산업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 연구 협력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머크 라이프사이언스 최고기술책임자(CTO) 카렌 매든(Karen Madden)은 “머크와 KAIST 간 협력은 단순한 공동연구를 넘어 글로벌 수준의 산학협력 모델로 진화하고 있다”며 “이번 워크샵을 통해 양 기관 간 협력이 더욱 심화돼 향후 더욱 혁신적이고 구체적인 연구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머크는 생명과학 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연구 인프라와 인재 육성에 지속 투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AIST 이광형은 “KAIST는 머크와의 협력을 통해 독자적인 과학기술 경쟁력을 글로벌 수준으로 확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공동연구, 인재교류, 창업 지원 등 다양한 방식의 협업을 통해 생명과학 분야의 혁신적 연구성과가 창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머크와 KAIST는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이후, 생명과학과 재료과학을 중심으로 AI 및 디지털 헬스, 지속가능성, 미래형 실험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연구를 추진해왔다.
특히 KAIST 의과학대학원 내 머크 바이오 랩(Merck Bio Lab)과 서플라이 센터(Merck Supply Center)를 개소하고, 신소재공학과 내에는 어플리케이션 앤 익스피리언스 랩(Merck-KAIST Application and Experience Lab)을 설립하는 등 물리적 연구 기반을 확충해왔다.
이와 함께 KAIST 대학원생 대상 장학 프로그램 운영, 교수진 대상 시상 제도 운영, 머크 그룹 산하 벤처캐피털 M Ventures를 통한 KAIST 창업팀과의 협력 강화 등 인재 양성과 기술사업화 지원에서도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협업이 이뤄지고 있다.
이번 보스턴 워크샵은 머크와 KAIST가 ‘연구-산업-인재’를 연결하는 실질적 파트너십 모델을 통해 생명과학 분야의 글로벌 혁신을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자리였으며 양 기관은 앞으로도 연구개발 생태계의 중심에서 협력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