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아스트라제네카·에이비스, AI 기반 HER2 진단 생태계 구축 위한 업무협약 체결 /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한국아스트라제네카가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병리 솔루션 스타트업 에이비스와 함께 AI 기반 HER2 진단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 15일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본사에서 진행됐다.
이번 협약은 최근 유방암 진단 및 치료 분야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HER2 저발현(HER2-low) 개념의 도입에 따라 정밀한 HER2 진단의 중요성이 커진 가운데 이뤄졌다.
양사는 국내 유방암 환자들이 혁신적인 치료를 적시에 받을 수 있도록 최신 진단 기술의 현장 적용과 진단 효율 향상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HER2는 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형(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단백질로 암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조절하는 주요 바이오마커다.
유방암 환자의 치료 방침은 HER2 발현 수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HER2 진단은 치료 전략 수립의 핵심 요소로 꼽힌다.
기존에는 HER2가 양성 또는 음성으로 구분되었지만 최근에는 IHC 1+ 또는 IHC 2+이며 ISH 음성인 경우를 ‘HER2 저발현’으로 새롭게 정의하고 해당 환자군을 위한 치료 옵션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가 공동으로 개발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치료제인 ‘엔허투(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가 HER2 저발현 환자에게도 효과를 보인 DESTINY-Breast04 임상 결과에 기반해 임상 현장에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한 데 따른 변화다.
하지만 기존의 HER2 진단 방식인 면역조직화학(IHC) 검사는 판독자의 육안 판독에 의존해 시간이 오래 걸리고 판독자 간 해석의 차이가 존재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일관성 있는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AI 기반 진단 기술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에이비스가 보유한 AI 기반 바이오마커 정량화 솔루션 ‘콴티 IHC(Qanti® IHC)’의 HER2 진단 기술을 국내 임상 환경에 도입하고 실제 의료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할 계획이다.
양사는 AI 기술의 임상적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한 공동 연구 과제도 검토 중이며 향후 실질적인 임상 데이터(Real World Evidence) 확보를 위한 협력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전세환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대표이사는 “아스트라제네카는 의약품을 넘어서 진단부터 치료까지 환자 중심의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지향해왔다”며 “이번 업무협약은 새로운 HER2 분류 체계에 대응하기 위한 진단 기술을 국내에 도입하는 중요한 첫걸음으로 더 많은 유방암 환자들이 정밀한 진단을 통해 최적의 치료 기회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대홍 에이비스 대표이사는 “HER2 저발현 개념의 도입은 유방암 진단을 한층 더 정밀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고 있다”며 “에이비스는 AI 기반 진단 기술을 통해 병리 전문의들의 판독 부담을 줄이고, 보다 일관성 있고 신속한 진단을 도와 암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밀의료 기술과 인공지능 진단이 접목된 국내 첫 사례로 향후 HER2 진단 뿐 아니라 다양한 바이오마커 진단의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할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