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전이성 유방암 가족 위한 동화책 '모험의 유리병' 출간 기념 캠페인 참여 /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가 전이성 유방암 환자 가족을 위한 동화책 ‘모험의 유리병 – 전이성 유방암 환자 가족을 위한 따스한 마법 같은 이야기’의 한국어판 출간을 기념하며 지난 17일 일산 호수공원에서 열린 ‘핑크 패밀리 데이’에 참여해 임직원 봉사활동 및 캠페인 부스를 운영했다고 19일 밝혔다.

모험의 유리병은 2024년 길리어드 사이언스가 전이성 유방암 커뮤니티와 협력해 어린이를 대상으로 제작한 동화책으로 올해 처음으로 한국어 번역본이 선보였다.

이 책은 엄마의 암 진단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어린 자녀가 겪는 복합적인 감정과 그에 대한 공감, 연대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특히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치료 과정을 자녀의 시선에서 따뜻하게 그려내며 가족이 함께 만들어가는 희망의 순간들을 ‘마법’처럼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캠페인은 삼중음성유방암 환우단체 ‘우리두리구슬하나’가 주최한 대중 참여형 행사 ‘핑크 패밀리 데이’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는 ‘모험의 유리병’ 캠페인 부스를 운영했다.

현장에서는 임직원 봉사단 ‘길’ 소속 자원봉사자 30여 명이 참여해 유방암 환자 및 가족에게 동화책을 전달하고, 다양한 체험형 프로그램을 통해 정서적 지지를 전했다.

부스에서는 ▲동화책 읽어주기 ▲나만의 유리병 및 키링 만들기 ▲캐릭터 색칠하기 ▲가족 사진 촬영 등 아이들과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운영돼 참여자들에게 유방암에 대한 이해와 감성적인 공감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냈다.

특히 어린 자녀를 둔 유방암 환자 가족들이 많이 참여한 가운데 가족 단위 시민들은 환자들의 이야기와 질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함께 나누는 소중한 시간을 가졌다.

유방암은 국내 여성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암으로 특히 전이성 유방암은 치료의 장기화로 인해 환자와 가족에게 정서적·사회적 이중 부담을 안기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린 자녀를 둔 여성 환자에게는 암 진단과 치료 과정 자체가 자녀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서적인 돌봄과 사회적 연대가 절실하다.

이날 행사에는 약 500여 명의 시민들이 참여했으며 모험의 유리병을 기반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 영상 상영회도 함께 열려 많은 관람객들이 유방암 환자와 가족의 이야기를 감성적으로 접하고 공감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우리두리구슬하나 박지연 대표는 “전이성 유방암은 환자 개인만의 문제가 아닌 가족 전체의 이야기”라며 “특히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에는 더욱 섬세한 정서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번 캠페인을 시작으로 전이성 유방암 환우 가족을 위한 지속 가능한 지원 활동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재연 대표는 “모험의 유리병은 단순한 동화책을 넘어 전이성 유방암 환자와 그 가족의 일상에 따뜻한 위로와 희망을 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며 “앞으로도 길리어드는 환자와 가족의 삶에 실질적인 힘이 되는 동반자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모험의 유리병은 현재까지 15개국 언어로 번역됐으며 한국어판은 동화책 표지의 QR코드 또는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길리어드는 이번 캠페인을 계기로 정서적 돌봄의 가치를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며 사회 전반의 유방암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