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선 교수 / 고려대 안암병원

이유선 고려대 안암병원 치과교정과 교수가 성장기 주걱턱 환자 즉 3급 부정교합에 대한 최신 교정법의 효과를 입증하며 치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이 교수의 이번 연구는 기존 방식과 차별화된 ‘선(先)전방 견인, 후(後)확장’ 전략이 치료 예지성을 높일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며, 국내외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3급 부정교합은 아래턱이 과도하게 발달하거나 위턱의 성장이 부족한 경우 발생하는 대표적인 주걱턱 증상으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특히 강조되는 질환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비수술 치료는 먼저 위턱의 좌우 폭을 넓힌 후 페이스마스크 등을 통해 전방으로 견인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돼 왔다. 그러나 이 교수는 기존 치료 순서를 뒤집는 방식으로 더욱 효율적인 치료 가능성을 열었다.

이번 연구에서 이유선 교수는 ‘구개판 장치(Class III Palatal Plate)’를 활용해 확장 없이 위턱을 먼저 전방으로 당기고 이 과정을 통해 위아래 턱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한 후 어금니 각도의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어금니 간의 거리 변화 없이 경사도가 1.5도에서 최대 5.2도까지 자연스럽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에 필수로 여겨졌던 상악 확장 과정을 생략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는 3명의 성장기 3급 부정교합 환자를 대상으로 정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치료 전후 어금니의 변화와 턱뼈 위치를 비교한 결과를 통해 명확한 교정 효과가 확인됐다.

특히 절대적으로 위턱이 좁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악 확장 없이도 어금니 경사 개선이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불필요한 확장을 줄이고 환자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유의미한 임상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이 교수는 이미 2022년 같은 장치를 적용한 전향적 연구를 통해 기존의 치아지지형 장치보다 구개판 장치가 상악 전방 견인에 더 효과적이며 하악 및 상하악 치아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

이번 연구는 이에 더해 어금니 경사의 자연 개선이라는 새로운 임상적 이점을 추가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이유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전방 견인 후에 상악 확장의 필요성을 재평가하는 방식이 치료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하지만 모든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절대적인 해답은 아니며 절대적 혹은 상대적 상악 확장의 필요성에 대한 명확한 감별진단 기준을 마련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방 견인 전에 어금니의 경사도가 향후 자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확장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권위 학술지 ‘Seminars in Orthodontics’ 2025년 5월 특별호에 ‘Transverse Autocorrection of Molar Inclination in Class III Patients: Case Insights on Maxillary Protraction Using Class III Palatal Plate’라는 제목으로 게재되며 학계의 깊은 관심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