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임상시험의 날’ 맞아 글로벌 R&D 성과 조명 /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가 세계 임상시험의 날(5월 20일)을 기념해 자사의 글로벌 및 국내 연구개발(R&D) 활동을 조명하는 인포그래픽을 공개하고 전사 차원의 사내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난 15일 사내에서 개최된 ‘임상시험의 날 바로 알기’ 프로그램을 통해 이뤄졌다.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퀴즈 이벤트와 함께 ‘모루 인형 키링’ 제작 프로그램이 마련돼 연구의 의미와 임상시험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날 제작된 모루 인형은 유방암 환자와 가족을 위한 정서지원 행사인 ‘핑크 패밀리 캠페인’ 현장에서 전달될 예정이다.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현재 한국 내에서 총 33건의 글로벌 임상시험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전국 240여 곳의 의료기관과 협력하고 있다.

연구 대상 질환은 ▲종양학(항암) ▲염증성 질환 ▲바이러스성 질환 ▲세포치료 분야 등으로 폭넓다. 특히 전체 항암제 임상시험 중 약 79%가 국내에서 수행되고 있어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핵심적인 임상시험 허브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전체 인력의 약 40%가 R&D 부문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항암제 파이프라인 확장에 따라 임상 전담 인력은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4년 기준으로 국내 매출의 약 13%를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등, 과학적 혁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글로벌 협력도 활발히 전개 중이다. 길리어드는 암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글로벌 협업 프로그램 ‘HOPE(Heme-Oncology Portfolio Engagement)’를 운영하며 전 세계 19개국, 74개 연구기관과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등 유수의 상급종합병원들과 긴밀한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하현주 임상부서 총괄 상무는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에서도 연구 환경이 우수하고 의료진의 전문성이 높아, 글로벌 임상시험 수행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내 의료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수준 높은 임상 연구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최재연 대표는 “길리어드는 과학의 혁신을 통해 질환의 종식과 완치를 실현하는 것을 사명으로 삼고 있으며 R&D 투자와 신약 개발을 통해 환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 옵션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며 “특히 항암 및 바이러스 질환 분야에서 국내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세계 임상시험의 날은 1747년 영국 해군 군의관 제임스 린드가 괴혈병 치료를 위해 세계 최초의 근대적 임상시험을 실시한 것을 기념하여 제정된 날로 의학 발전의 전환점이 된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임상시험의 가치를 환기시키는 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