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익진 교수 / 건국대병원
건국대병원 외과 윤익진 교수팀이 지난 7일 열린 ‘2025한국실험동물학회 동계심포지엄’에서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건국대 글로컬 산학협력단 소속 황선애, 양은열, 서수현, 박현주, 서지영, 안유림, 백수정 연구원들이 함께 이루어낸 성과로 이종이식 연구 분야에서 획기적인 진전을 이룬 연구 내용이 주목받았다.
양은열 연구원은 ‘The First Report of Over 6-Month Survival in Pig-to-Monkey Xenogeneic Heart Transplantation in Korea’라는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국내 최초로 돼지에서 원숭이로 이식한 심장이 6개월 이상 생존한 사례를 보고한 것으로 이는 이종간 장기 이식 연구에서 임상 연구로의 진전 가능성을 크게 높인 중요한 성과다.
특히 이 기록은 이종이식 임상화의 최소 기준을 충족시킨 것으로 평가되며 인간 대상 연구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한 사례로 주목받았다.
양은열 연구원은 “많은 교수님들과 연구진 분들의 업적을 대신해 수상하게 돼 송구스럽다”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장기부족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황선애 연구원은 ‘Immunotherapy strategies for clinical approval in solid organ xenotransplantation’이라는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이종이식 임상시험 진입을 목표로 한 신규 면역억제제 개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식편의 생존율을 높이고, 이종이식 임상 승인 및 동종이식 면역 조절 프로토콜 개발에 기여한 점이 높게 평가됐다.
황선애 연구원은 “우수 포스터 수상은 임상 의료진 및 연구진들의 노력이 모여 받은 상인 만큼, 본격적인 이종이식 임상화를 위해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을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내기 위해 더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건국대병원 윤익진 교수팀은 이번 수상을 통해 이종이식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차세대 장기이식 대안으로 평가받는 이종이식 임상화를 위한 연구 역량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이번 성과는 신규 면역억제제 개발 및 임상 연구 진전 가능성을 확인한 중요한 사례로, 향후 인간 대상 이종이식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윤익진 교수는 “건국대병원이 이종이식 연구를 선도하며 글로벌 의료계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연구팀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수상은 국내 이종이식 연구 수준을 한 단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장기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건국대병원 윤익진 교수팀의 연구 성과는 이종이식 임상화에 필요한 기술적, 윤리적 과제를 해결하며 차세대 장기이식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건국대병원은 앞으로도 이종이식 연구에 집중하며 글로벌 의료계를 선도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지속적으로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