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터, HDx Eco 심포지엄 개최 / 박스터

박스터는 지난달 28일 서울과 부산에서 확장된 혈액투석(Expanded Hemodialysis, 이하 HDx) 에코(Eco) 심포지엄을 개최해 테라노바(Theranova)를 활용한 HDx의 임상적 유용성과 환경친화적 가치를 조명했다고 밝혔다.

테라노바는 기존 혈액투석여과(Hemodiafiltration, HDF)에 비해 물 사용량을 20% 이상, 전력 소모를 3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투석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이러한 특성과 함께 임상적 효과를 강조하며, 강남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박형천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됐다.

첫 세션에서는 마드리드 인판타 레오나 대학병원 신장내과 패트리샤 데 세케라 오르티스 교수가 ‘투석의 미래: HDx 치료와 그 임상적 의의 이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패트리샤 교수는 “테라노바를 이용한 HDx는 기존 고유량 혈액투석(High-Flux HD, HF-HD)보다 중분자 요독물질 제거 투석 합병증 개선, 입원율 및 사망률 감소에서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며 “HDF와 비교해도 비열등한 성과를 보이면서 물과 전력 소모량이 적어 지속가능한 투석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심포지엄에서는 경북대병원 신장내과 조장희 교수가 국내에서 진행된 ‘THREAD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조 교수는 “말기신장질환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테라노바를 이용한 HDx가 HF 투석막 대비 잔여 신기능 보존에 유리하다는 결과를 확인했다”며 “12개월간 진행된 연구에서 테라노바 그룹이 HF 그룹에 비해 eGFR 감소가 적었으며 중분자 요독물질 및 염증 마커 감소에서도 더 나은 효과를 보였다”고 강조했다.

부산 심포지엄에서는 부산대병원 신장내과 송상헌 교수가 ‘확장된 혈액투석: 사구체 막과 유사해지는 여정’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송 교수는 테라노바의 미디엄 컷-오프(Medium Cut-Off, MCO) 멤브레인의 특징을 설명하며 “테라노바는 균일한 멤브레인 구조로 큰 중분자 요독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알부민 손실을 최소화한다”며 “이로 인해 정상 신장의 기능과 가까운 투석을 가능하게 한다”고 밝혔다.

이어 “큰 중분자 요독물질 제거는 심혈관질환 위험을 줄이는 데 중요하며, 테라노바를 활용한 HDx는 HF-HD 대비 심혈관 사건 발생률을 34% 감소시켰다”고 설명하며 테라노바의 임상적 유용성을 강조했다.

임광혁 대표는 “테라노바를 이용한 HDx는 환자의 생명 유지와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임상적 가치를 증명하고 있다”며 “이번 심포지엄은 이러한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앞으로도 혈액투석 환자들에게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박스터의 신장 관리 및 급성 치료 사업부는 글로벌 투자기업 칼라일 그룹의 새로운 신장 관리 회사 ‘밴티브(Vantive)’로 분사 중이다.

밴티브는 생명 유지와 장기 치료(Vital Organ Therapy)에 중점을 두며, ‘생명 연장으로 더 넓은 가능성을 향해(Extending Lives, Expanding Possibilities)’를 사명으로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은 테라노바의 임상적 가치와 환경친화적 특징을 강조하며, 미래 혈액투석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자리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