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암협회, 소방의날 맞아 전·현직 소방공무원 암 환자 119명에 치료비 전달 / 대한암협회
대한암협회가 소방의날을 맞아 전·현직 소방공무원 암 환자 119명에게 총 3억 3천만 원 규모의 치료비를 전달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지원은 유한재단과 공동 진행 중인 ‘암(癌)중모색 시즌2’ 캠페인의 일환으로, 화재 현장에서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헌신해온 소방공무원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치료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다.
소방공무원은 화재 진압, 구조·구급 활동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벤젠, 석면 등 다양한 발암물질에 반복적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직업적 특성으로 인해 일반 직군보다 암 발병률과 사망 위험이 높다는 점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지적돼 왔다.
국제암연구소(IARC)는 2022년 소방공무원 직업 노출을 ‘인간에게 발암성이 있는 1군(Group 1)’ 요인으로 규정하며 그 위험성을 공식화했다.
하지만 2023년 개정된 ‘공무원재해보상법’에 공상 추정제가 도입되었음에도 실제 지원을 받기까지는 여전히 높은 장벽이 존재한다.
암 발병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고 각 개인의 업무 환경이나 발암물질 노출 경로를 명확히 입증하기 어려워 공상으로 인정되지 못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상당수 소방공무원은 제도 밖에서 경제적·의료적 부담을 홀로 감당해야 하는 실정이다.
대한암협회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상 인정 여부와 관계없이 ‘실질적 지원이 필요한 환자’를 직접 지원하는 방식을 택했다.
협회는 지난 9월 30일 소방청과 공동 협력 체계를 공식화하는 협정을 체결했고 이번 사업은 소방청이 대상자 발굴 및 신청 접수를 맡고 암협회가 유한재단 후원금을 통해 치료비를 지원하는 구조로 진행됐다.
총 204명의 신청자 중 폐암, 신세포암, 림프종 등 중증·희귀암 환자 119명이 심사를 거쳐 최종 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치료비는 소방의날인 지난 9일 전달됐다.
지원 대상자인 한 소방경은 “완치까지 갈 길이 멀지만, 이번 지원 덕분에 마음의 짐이 덜어졌다”며 “건강을 회복해 현장에 복귀하고 국민이 더 안전한 소방서비스를 받도록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소방청 조인담 계장은 “화재 현장에서는 발암물질이 다량 발생하고 암 종류도 다양해 인과관계 입증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며 “이번 지원은 그동안 묵묵히 현장을 지켜온 대원들에게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민혁 대한암협회 회장은 “수술 후 복귀했지만 호흡 시 통증으로 동료들에게 도움을 주지 못해 우울했다는 사연이 기억에 남는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일하다 병을 얻은 분들을 지원하는 것은 국가와 기업이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유한재단의 후원으로 이번 사업이 가능해졌으며 앞으로도 실질적 도움이 필요한 환자들을 계속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암협회는 앞으로도 ‘암중모색’ 캠페인을 중심으로 국가·사회에 헌신한 이들을 포용하는 연대의 정신을 확산하고 암 환자와 가족의 경제·정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지원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