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한강성심병원 공동연구진 / 한림대한강성심병원

한림대한강성심병원 연구진이 화상환자의 패혈증을 조기에 진단하고 항생제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임상 근거를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화상환자의 생존율 향상과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한림대한강성심병원 화상외과 김도헌 교수(교신저자), 박선태 교수(제1저자), 허준 병원장, 윤재철 교수, 조용석 교수, 화상연구소 공동연구팀은 '화상 관련 패혈증에서 프리셉신의 진단 정확도와 항생제 조기 감량에 미치는 영향(Diagnostic Accuracy of Presepsin and Its Impact on Early Antibiotic De-Escalation in Burn-Related Sepsis)' 연구를 통해 프리셉신(Presepsin)이 패혈증의 조기 진단과 항생제 감량 판단에 유용하다는 사실을 국내 최초로 입증했다.

프리셉신은 세균 감염 시 인체 면역세포가 활성화되며 분비되는 단백질 조각으로, 혈액 내 농도 상승이 감염 반응을 빠르게 반영한다.

연구에 따르면 프리셉신 수치는 감염 발생 후 1시간 이내 상승을 시작해 3시간 내 최고치에 도달하며, 반감기 4~5시간으로 짧아 조기 진단에 유리하다.

연구팀은 2021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화상중환자실에 입원한 중증 화상환자 221명을 대상으로 7가지 혈액 바이오마커를 비교 분석했다.

분석 항목은 ▲프리셉신 ▲프로칼시토닌(PCT) ▲CRP ▲알부민 ▲프로트롬빈시간(PT) ▲적혈구비율(Hct) ▲디다이머(D-dimer) 등이다.

그 결과 프리셉신의 진단정확도(AUC)는 0.810(0~1 기준, 높을수록 정확)으로 가장 우수했다.
특히 혈액배양검사에서 균이 검출되지 않는 ‘음성 패혈증’ 환자군에서도 AUC 0.846을 기록 프로칼시토닌(0.752), CRP(0.692)보다 월등히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이는 기존 표준검사인 혈액배양검사(결과 확인까지 3~5일 소요)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신속하고 정밀한 진단법으로 평가된다.

김도헌 교수는 “프리셉신은 혈액배양검사가 위음성으로 나오는 경우에도 높은 신뢰도를 보여, 화상환자의 패혈증 조기 진단에 유용한 지표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임상 현장에서 실시간 감염 반응을 평가해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프리셉신 수치가 기준치 472pg/mL 이하일 경우 패혈증 위험이 낮은 것으로 평가,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수치를 근거로 항생제 투여를 조기에 중단하거나 감량할 수 있어, 항생제 내성균 발생 억제와 의료비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허준 병원장은 “이번 연구는 화상환자에서 패혈증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임상적 근거를 제시했다”며 “프리셉신을 활용한 진단 프로토콜을 임상에 적용해 맞춤형 치료와 항생제 관리 강화를 실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급 국제학술지 'Antibiotics'(피인용지수 IF 4.6) 2025년 8월호에 게재됐다.

한림대한강성심병원은 국내 유일의 화상 전문 상급종합병원으로 화상환자 감염관리·재활·심리치료 등 통합 치료체계를 기반으로 한 연구 성과를 꾸준히 발표하며 글로벌 화상치료 분야의 선도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