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인순 의원 / 남인순 의원실

전립선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건강기능식품 ‘쏘팔메토(Saw Palmetto)’ 제품의 생산량과 판매량이 최근 2년 사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정부의 품질·안전관리 강화 조치가 시행된 이후 쏘팔메토 제품의 생산 및 판매 실적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남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제조 쏘팔메토 열매 추출물 제품의 생산 및 판매량 현황’ 자료에 따르면 쏘팔메토 제품의 생산량은 2020년 166톤에서 2022년 638톤으로 3배 이상 급증했다가 2024년에는 190톤으로 급감했다.

판매량 역시 2020년 165톤에서 2022년 638톤까지 치솟은 후, 2023년에는 213톤, 2024년에는 189톤으로 감소하며 시장이 급격히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남 의원은 “쏘팔메토는 전립선 건강 유지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원료는 대부분 미국 플로리다와 조지아 등에서 수입되고 국내산은 전무하다”며 “일부 인도산 원료에서 지표성분인 지방산과 로르산(lauric acid)의 함량을 인위적으로 높이기 위해 값싼 팜유나 코코넛오일을 첨가하는 사례가 해외 기관 조사로 확인되면서 제품 신뢰도 하락과 규제 강화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쏘팔메토 제품의 품질관리와 투명한 유통을 위한 제도적 조치를 잇따라 시행했다.

식약처는 2022년 9월과 2023년 7월 두 차례에 걸쳐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를 개정해 쏘팔메토 열매 추출물의 총 지방산 함량 및 식물스테롤 시험법을 신설하는 등 품질관리를 강화했다.

농식품부 또한 2023년 2월 ‘농산물의 원산지표시 요령’을 개정해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사용되는 쏘팔메토 열매 추출물의 원산지 표시를 의무화했다.

남인순 의원은 “기준·규격 개정과 원산지 표시제 도입으로 시장 내 저품질 원료가 걸러지고, 투명한 유통 구조가 정착되면서 단기적으로는 생산량과 판매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단순한 시장 위축이 아닌, 품질 신뢰도를 회복하기 위한 과도기적 현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식약처는 쏘팔메토 품질관리 강화 이후 소비자 보호를 위한 홍보 및 점검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식약처는 남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서 “쏘팔메토 열매 추출물의 기능성과 섭취 시 주의사항을 알리는 온라인 카드뉴스를 제작·배포했으며, 오픈마켓 등에서 허위·과대광고를 집중 단속했다”고 밝혔다.

점검 결과 2023년 57건, 2024년 53건, 2025년 현재까지 20건의 부당광고 사례가 적발됐다.

또한, 기준·규격 개선이 시행된 2024년 1월 이후 수입된 쏘팔메토 원료 93건을 검사한 결과, 1건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해당 부적합 제품은 총 지방산 50% 검출(규격: 80% 이상) 로르산 161mg/g 검출(규격: 표시량 220mg/g 이상)으로 핵심 기능성 지표 성분이 기준에 미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처는 해당 원료의 국내 유통을 즉시 차단하고 품질 미달 제품의 재유입 방지를 위한 검사 강화를 예고했다.

남 의원은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지만, 원료의 진위와 품질관리가 동반되지 않으면 국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며 “정부가 강화된 품질관리 기준을 지속적으로 이행하고, 소비자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을 더욱 확실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쏘팔메토(Saw Palmetto)는 미국 남동부 지역에서 자생하는 톱야자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전립선 비대증 증상 개선 및 남성 배뇨 건강 유지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원료 혼합과 성분 조작 등 문제가 불거지면서 정부의 관리·감독 강화가 본격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