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국내 완제의약품의 생산, 수입, 공급 실적 등을 종합 분석한 ‘2024 완제의약품 유통정보 통계집’을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통계집은 완제의약품 유통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데이터를 수록한 정기 간행물로 의약품 유통시장에 대한 이해와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번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완제의약품 전체 유통금액은 약 100조 5,000억 원으로 집계되어 전년 대비 약 6.1%(약 5조 7000억 원) 증가했다.
이는 2022년 88조 9,000억 원, 2023년 94조 7,000억 원에 이어 3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간 것이다.
올해 집계된 100.5조 원의 유통금액은 제약사와 요양기관 간의 직거래는 물론 도매 유통 경로를 통한 모든 공급 실적이 포함된 수치다.
이 중 도매상을 통한 유통은 56조 원으로 전체 유통금액의 약 55.8%를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나타냈다.
그 다음으로는 제조사 공급이 33조 3000억 원(33.1%), 수입사 공급이 11조 2000억 원(11.1%)으로 각각 집계됐다.
의약품 생산 실적 역시 성장세를 보였다. 2024년 국내 완제의약품 생산금액은 27조 6247억 원으로 전년 대비 1조 6,455억 원(6.3%) 증가했다. 수입금액도 8조 2487억 원으로 전년 대비 7.2%(5,511억 원) 늘어났다.
요양기관으로의 의약품 공급은 전체 유통금액의 40조 5000억 원에 달하며 이는 전년보다 5.7%(2조 2000억 원) 증가한 수치다.
이 중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급여의약품의 공급액은 33조 6000억 원으로 전체 요양기관 공급의 82.9%를 차지했다.
요양기관 종별로는 약국에 대한 의약품 공급이 25조 6000억 원으로 전체의 63.2%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이어 종합병원급이 9조 1000억 원(22.3%), 의원급 3조 4000억 원(8.5%), 병원급 2조 2000억 원(5.4%), 기타 기관이 2000억 원(0.6%)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발간된 ‘2024 완제의약품 유통정보 통계집’은 26일부터 심평원 누리집, 의약품관리종합정보포털에서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으며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시스템 KOSIS에서도 제공될 예정이다.
소수미 심평원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장은 “국내 완제의약품 유통시장이 해마다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만큼, 이번 통계집은 유통 구조에 대한 연도별 추세 및 세부 항목 분석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정책 개발과 산업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써의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