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팜, 이해관계자와 소통 강화...첫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에스티팜
에스티팜이 ESG 경영체계 강화를 위한 첫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며 지속가능한 미래 비전을 본격적으로 제시했다.
에스티팜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이해관계자들과의 투명한 소통을 강화하고, 책임 있는 기업으로서의 실천적 의지를 공고히 했다.
이번 보고서는 에스티팜이 지난해 5월 ‘사회적 책임경영’을 공식 선포한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해 온 지속가능경영 전략과 성과를 집대성한 결과물이다.
에스티팜은 ‘생명을 살리는 혁신 기업’이라는 비전을 중심으로, ‘오늘의 혁신으로, 내일을 지속가능하게’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ESG 경영의 체계적 실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에스티팜은 보고서에서 5대 전략 방향과 15개의 전략 과제를 중심으로 자사의 지속가능경영 체계를 상세히 설명했다.
특히 ‘Healthy Sustainability Areas’라는 개념 아래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기업 운영의 구체적인 영역을 제시했다.
해당 영역은 ▲Healthy Products(책임 있는 제품 개발과 품질 관리) ▲Healthy Workplace(안전보건 및 인재 육성) ▲Healthy Communities(공급망 윤리 및 사회공헌) ▲Healthy Planet(기후변화 대응과 환경경영 체계) ▲Healthy Management(투명한 지배구조 및 윤리경영)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각 영역마다 실행 중인 전략과 활동이 담겼다.
에스티팜은 이번 보고서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 활동도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향후 기업 활동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사전에 식별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략을 수립한 점이 특징이다.
특히 체계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를 위해 기존 인벤토리를 재정비하고, Scope 3(기타 간접 배출)의 산정 대상을 총 9개 카테고리로 세분화했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 관리의 정확성과 효과성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에스티팜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2021과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등 주요 국제 보고 기준을 충실히 반영해 작성됐다.
또한, 독립된 외부 전문기관의 제3자 검증을 통해 보고서의 정보 신뢰성과 정확성을 확보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보고서에는 2024년 기준 주요 지속가능경영 활동과 성과도 함께 공개됐다. 이는 향후 에스티팜이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장기적으로 어떻게 추진할 것인지에 대한 청사진을 이해관계자에게 제시하는 동시에, ESG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철학을 담은 전략을 전사적으로 구체화하고자 했다”며 “앞으로도 이해관계자의 기대에 부응하면서, 지속가능경영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글로벌 수준에 부합하는 지속가능 전략을 계속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에스티팜은 앞으로도 ESG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 책임경영을 지속하며 생명과 환경을 모두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경영철학을 시장과 사회에 실현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