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 전경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봄철을 맞아 산나물과 유사한 독초를 개인이 임의로 채취해 섭취한 뒤 복통이나 장염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독초나 유사 식물을 잘못 섭취해 복통·구토 등의 증상을 호소한 사례는 총 41건에 달하며 이 중 80%인 33건이 봄철인 3월부터 6월 사이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봄철에 꽃이 피기 전에는 잎이나 뿌리만으로 산나물과 독초를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생김새가 유사해 혼동하기 쉬운 대표적인 독초들이 다수 존재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덩굴성 다년초로 식용 가능한 더덕과 외형이 비슷한 독초인 미국자리공이 있다.

더덕은 뿌리에 가로 주름이 있으며 향이 나는 반면 미국자리공은 뿌리가 매끈하고 주름이 없으며 자주색 줄기가 나오고 특유의 향이 없다. 외형은 유사하지만 특징적인 차이로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우산나물과 삿갓나물 역시 혼동 사례가 잦은 식물이다. 우산나물은 잎의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지며 깊게 2열로 나뉘는 반면 삿갓나물은 줄기 끝에 잎이 붙어 있고 잎의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아 구분이 가능하다. 삿갓나물은 식용이 불가능한 독초로 주의가 필요하다.

곰취와 혼동되는 동의나물 역시 대표적인 독초로, 곰취는 향이 진하고 잎이 부드러우며 날카로운 톱니 모양이지만 동의나물은 향이 없고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는 특징을 지닌다.

산마늘과 은방울꽃의 경우도 특히 주의가 요구된다. 산마늘은 마늘 특유의 향이 강하며 줄기 하나에 2~3장의 잎이 달려 있으나 은방울꽃은 잎이 곧고 튼튼하게 뻗어 있으며 표면에 융기가 있어 외형이 다소 유사하다 해도 뚜렷한 차이가 있다. 은방울꽃은 뿌리에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어 잘못 섭취하면 위험에 처할 수 있다.

머위와 털머위 역시 유사하게 생겼지만 식용 여부가 다르다. 머위는 잎에 털이 있고 부드러운 질감을 지니고 있으나 털머위는 잎이 두껍고 광택이 있으며 갈색 털이 많은 상록성 독초로 분류된다.

이 외에도 ‘산괴불주머니’를 쑥으로 잘못 알고 섭취하는 사례가 확인되고 있어 산나물에 대한 충분한 지식 없이 야생식물을 채취해 먹는 행위는 중대한 건강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당국은 경고했다.

아울러 식약처는 먹을 수 있는 산나물이라 하더라도 반드시 조리법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사리, 두릅, 원추리 등은 식물 고유의 독성 성분을 소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끓는 물에 데친 후 섭취해야 하며 특히 원추리는 성장할수록 독성 성분인 콜히친(Colchicine)의 함량이 증가하므로 반드시 어린 잎을 충분히 익혀서 섭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만약 독초를 섭취한 후 복통, 구토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하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남은 식물 표본을 함께 지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약처와 산림청은 “산나물과 독초는 외형상 구분이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가급적이면 개인이 직접 채취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며 “식용 가능한 산나물이라 하더라도 반드시 올바른 조리법을 숙지하고 섭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독성 식물에 대한 정보를 담은 봄·가을 독성 식물 가이드북을 누리집 내 연구간행물 코너에 게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민들이 정확한 정보를 접하고 안전한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한 생활 속 유용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