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의과대학 의학과 김현정 교수와 고신대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박선자·김재현 교수 공동 연구팀이 체중 변화가 대장암 발생 위험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체중 변화와 대장암의 연관성을 성별과 연령별로 분석했으며 이는 맞춤형 예방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연구는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후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후속 검진을 받은 총 1033만 2397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진행됐다.
연구팀은 체중 변화를 기준으로 ▲5% 미만 ▲5-20% 감소 ▲20% 이상 감소 ▲5-20% 증가 ▲20% 이상 증가 등 5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체중 변화가 ±5% 이내인 대조군과 비교해 대장암 발생 위험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체질량지수(BMI) 18.5~30kg/m² 범위에 속하는 40세 미만 남성이 체중이 20% 이상 증가한 경우 대장암 발생 위험이 65%(HR=1.65)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0세 이상 여성에서는 체중이 20% 이상 감소할 경우 대장암 발생 위험이 24%(HR=0.76)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저체중군(BMI 18.5kg/m² 미만)에서는 체중 감소가 오히려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남성에서 체중이 5~20% 감소한 경우 대장암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지나치게 낮은 체중 유지가 대장암 발생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김현정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체중 변화와 대장암 발생 간의 연관성이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며 “40세 미만 남성의 경우 체중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상 체중 이상인 40세 이상 여성의 경우 체중 감량이 대장암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별과 연령에 맞춘 맞춤형 대장암 예방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체중 변화와 대장암 위험의 관계에 있어서 연령 및 성별 차이: 전국 코호트 연구(Age and sex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of body weight changes with colon cancer risks: A nationwide cohort study)’라는 제목으로 게재되며 국내외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장암 예방과 관리에서 체중 변화의 중요성을 부각하며, 체중 조절을 통한 건강 관리 방안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