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리아 8mg 2024 POWER-PIONEER 심포지엄 전경 / 바이엘 코리아

바이엘 코리아는 지난 11일과 12일 양일간 국내 안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한 '2024 POWER-PIONEER 심포지엄'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최근 국내 건강보험 급여를 받은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치료제인 아일리아 8mg(Eylea® 8mg)의 임상 연구와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아일리아 8mg은 기존의 아일리아 2mg보다 4배 높은 용량으로, 국내 허가된 anti-VEGF 치료제 중 유일하게 최대 20주까지 투여 간격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난 1일부터 보험 급여가 적용된 아일리아 8mg은 환자의 치료 편의성을 높이고 망막 질환 치료 성과를 혁신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약 130여 명의 안과 전문의들이 참석해 아일리아 8mg의 3상 연구인 PULSAR와 PHOTON 데이터에 대한 분석과 함께 신생혈관성(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nAMD)과 당뇨병성 황반부종(DME)에 대한 최신 치료 지견을 공유했다. 특히 아일리아 8mg의 실제 처방 사례와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열띤 논의가 이어졌다.

첫째 날 심포지엄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 안과 박규형 교수와 누네안과병원 이원기 원장이 좌장을 맡아 ‘아일리아 8mg을 통한 망막질환 관리의 혁신적 변화’를 주제로 발표가 진행됐으며 둘째 날에는 서울아산병원 안과 김중곤 교수, 강동경희대병원 안과 문상웅 교수 등이 각각 nAMD와 DME 세션에서 심도 깊은 발표를 이어갔다.

장우혁안과의원 장우혁 원장은 ‘아일리아 8mg로 살펴본 최신 망막 질환 치료’라는 주제로, 아일리아 8mg이 국내에서 허가 및 급여 적용을 받음에 따라 국내 망막 질환 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키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PULSAR 연구의 2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아일리아 8mg이 더 긴 투여 간격에서도 기존 아일리아 2mg과 유사한 시력 개선 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하며 일부 환자의 경우 최대 24주까지 투여 간격이 연장된 사례도 있었다고 밝혔다.

김안과병원의 김재휘 교수는 “아일리아 8mg은 더 높은 몰용량(molar dose)으로 인해 안구 내 약물 농도를 오랜 기간 유지시켜환자들의 치료 편의성을 높이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치료제”라며 “2년간의 임상 연구에서 안전성도 아일리아 2mg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실제 nAMD 환자의 사례를 통해 아일리아 8mg의 효과와 안전성을 증명하고 치료 간격이 길어지면서 환자들이 심리적 안정감을 얻어 치료 성과가 더욱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는 PULSAR와 PHOTON 연구의 하위 그룹 분석 결과를 발표하며 아일리아 8mg이 다양한 환자군에서 더 긴 투여 간격을 통해 유사한 시력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아일리아 8mg은 망막 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에서도 장기적으로 우수한 치료 성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획기적인 치료 옵션”이라고 강조했다.

서상옥 안과질환 치료제 및 항암제 포트폴리오 리드는 "아일리아 8mg은 국내 허가된 anti-VEGF 치료제 중 유일하게 20주까지 투여 간격을 연장할 수 있는 약물로, 최근 보험 급여 적용에 따라 더욱 많은 환자들에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아일리아 2mg은 treat-and-extend 요법을 통해 4주에서 16주까지 투여 간격을 연장할 수 있는 제품으로 지난 10년간 항-VEGF 시장을 이끌어왔으며 이번 아일리아 8mg 출시로 더 적은 주사 횟수로도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