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낮을수록 비만 유병률 상승, "국가 차원의 체계적 대응 필요"

지난해 비만 진료비 252억 원...10년 새 24배 증가

박원빈 기자 승인 2024.09.27 21:26 의견 0
박희승 의원 / 박희승 의원실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비만 유병률이 더 높게 나타나는 가운데, 체계적인 국가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비만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만 1441명으로 2014년 대비 1.5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비만 관련 진료비 역시 252억 원으로 급증해 2014년의 11억 원과 비교해 24배나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비만 유병률이 높았다. 2022년 기준 소득 하위 20%의 비만 유병률은 40.3%로, 상위 20%의 32.8%보다 7.5%p 높았다.

지역별로는 제주가 36.1%로 가장 높은 비만율을 기록했으며 강원(35.0%), 충북(34.5%), 인천(34.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강원 인제군(44.5%), 충북 보은군(44.1%) 등 읍·면 지역이 도시 지역보다 비만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학생 비만율도 도시보다 읍·면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2023년 초등학생을 기준으로 보면, 읍·면 지역의 과체중 및 비만 학생 비율이 도시보다 5.7%p 더 높았다.

비만 환자의 성별 차이도 주목할 만하다. 일반적으로는 여성 비만 환자가 남성보다 많았지만, 10대 이하에서는 반대로 남성 비만율이 높았다.

지난해 10대 미만 남성 비만 환자는 여성보다 1.6배 많았고, 10대에서는 그 격차가 1.9배로 더 벌어졌다. 이는 청소년 남성의 비만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박희승 의원은 “비만은 부정적인 신체 이미지와 여러 합병증, 사망률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국민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며 “정부가 체계적인 비만 예방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소득과 지역에 따른 비만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만 문제의 사회적·경제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포괄적이고 일관된 대응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 안티에이징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