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한국의학연구소 연구위원회의 신상엽 수석상임연구위원은 ‘가을철 야외 활동 시 주의해야 할 쯔쯔가무시병 예방 수칙’을 담은 건강정보를 13일 발표했다.
신상엽 연구위원(감염내과 전문의)은 “매년 가을이 되면 야외활동이 늘어나면서 진드기에 물려 쯔쯔가무시병 환자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초기 증상이 독감이나 장염 등에서 나타나는 몸살 기운과 유사하기 때문에 감별이 어렵다“고 말했다.
신 연구위원은 특히 “쯔쯔가무시병은 매년 국내에서 5,000~10,000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치료시기를 놓치면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다음과 같이 제언했다.
◆쯔쯔가무시병을 의심해야 할 상황
쯔쯔가무시병은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응애)이 사람을 물어 발생한다. 털진드기는 알에서 유충, 약충을 거쳐 성충이 되는데, 알에서 부화된 유충이 약충으로 변하는 과정 중 사람의 호흡을 인지해 피부에 달라붙은 후 흡혈한다.
주로 팔, 다리, 머리, 목 등의 노출 부위나 겨드랑이, 사타구니, 엉덩이 등 습한 부위를 무는 경우가 많고 흡혈하는 과정에서 진드기 유충 속에 있던 쯔쯔가무시균이 사람의 혈액과 림프액을 통해 전신에 퍼져 혈관염을 일으키고 전신 증상을 유발한다.
신상엽 연구위원은 “야외 활동 후 3주 내에 갑자기 두통 근육통과 같은 몸살 기운이나 복통 구토와 같은 장염 증상이 나타나면서 발열이 시작되고 이어 피부에 발진이 나타나고 가피(딱지)가 확인되는 경우 쯔쯔가무시병을 강력하게 의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야외 활동 시 피부가 풀숲 등에 노출된 적이 있거나 농업에 종사한다면 증상이 있을 시 쯔쯔가무시병 진단 가능성이 높다.
쯔쯔가무시병은 혈관염에 의한 발열 및 전신 증상이 특징적이다. 발진(직경 3~5mm의 홍반성 반점)의 경우 발병 3~7일에 간지럽지 않은 홍반성 구진성 발진이 몸통에서 상하지로 퍼진다.
경계가 명확하고 발진끼리 합쳐지지 않고 눌러보면 붉은 색이 쉽게 없어진다. 손 발바닥에는 발진이 잘 생기지 않는다.
진드기가 물었던 자리에 생기는 가피(딱지, 직경 0.5~2cm)는 쯔쯔가무시병 환자의 50~90%에서 관찰되고 진단에 매우 중요한 소견이다.
초기에는 수포와 궤양 소견을 보이다 검은색 가피로 피부 병변이 진행된다. 가피 주변은 붉은색 홍반으로 둘러싸여 있는 경우가 많다.
◆쯔쯔가무시병 예방법
쯔쯔가무시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야외에서는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는 복장을 착용하고 풀밭 위에서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말고 돗자리를 사용하고, 야외 활동 후에는 옷을 털고 세탁해야 한다.
진드기 기피제 사용도 도움이 된다. 기피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의약외품’으로 승인 받은 제품을 선택해 사용법을 숙지한 후 피부에 사용한다.
진드기는 장시간 흡혈하면서 병원체를 옮기기 때문에 물린 후 바로 제거하면 감염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단 진드기가 피부에 붙은 것을 확인했다면 억지로 제거하지 말고 신속하게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해 제거하는 것이 안전하다.
당장 의료기관 방문이 어렵다면 핀셋 등으로 진드기 머리를 잡아 조심스럽게 수직 방향으로 제거해 최대한 진드기 조직이 피부에 남지 않도록 하고 즉시 소독해야 한다.
KMI한국의학연구소는 1985년 설립된 건강검진기관으로 현재 서울 3곳(광화문, 여의도, 강남)과 지방 5곳(수원, 대구, 부산, 광주, 제주) 등 전국 8개 지역에서 건강검진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질병의 조기발견과 예방, 국민건강 증진을 위한 활동과 더불어 다양한 사회공헌사업을 펼치고 있다.
저작권자 ⓒ 안티에이징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