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KMS(2025)_인포그래픽 / 대한비뇨의학회
대한비뇨의학회는 최근 국제학술지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JKMS)’에 게재된 대규모 연구 결과를 근거로 “전립선암 국가검진 제도 도입이 시급하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51개 종합병원에서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전립선암으로 진단된 환자 27,075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분석 결과 진단 시점에서 환자의 50.6%가 이미 고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립선암 환자의 절반 이상이 조기에 발견되지 못한 채 병이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저위험 전립선암 비율은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0년 11.4%였던 저위험군 비율은 2020년 7.6%로 줄어든 반면 고위험군 비율은 꾸준히 증가했다. 이는 국가 차원의 조기검진 체계 부재가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것이 연구진의 분석이다.
지역별 격차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농어촌 지역 환자의 고위험 전립선암 비율은 55.4%로, 도시 지역(47.7%)보다 7.7% 더 높았다.
이는 농어촌 지역의 PSA(전립선특이항원) 검사 기회 부족과 의료 접근성 한계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연구 교신저자인 고영휘 교수(이화의대 비뇨의학과)는 “환자의 절반 이상이 고위험군 단계에서 발견된다는 사실은 국가 조기검진 체계의 부재를 보여준다”며 “PSA 검사는 간단한 혈액 검사만으로 조기 발견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국가암검진 항목에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성일 대한비뇨의학회 회장(삼성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역시 “전립선암은 더 이상 개인 차원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대응이 필요한 질환”이라며 “농어촌과 취약지역 등 검진 사각지대의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과잉진단과 과잉치료를 방지할 명확한 원칙을 마련하고,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체계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 전립선암 진단 체계의 문제점을 여실히 드러내며 PSA 검사를 국가암검진에 도입하고 지역 간 격차를 줄일 제도적 개선이 절실하다는 주장의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