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2025 첨단재생바이오 세미나’ 개최 / 전북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는 도의회 경제산업건설위원회와 함께 전북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2025 첨단재생바이오 세미나’를 6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조직공학, 오가노이드 등 분야별 전문가를 초청해 바이오 산업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번 행사에는 김대중 도의회 경제산업건설위원장을 비롯해 경제산업건설위원들, 신원식 도 미래첨단산업국장, 윤세영 바이오방위산업과장, 이규택 전북테크노파크 원장, 이송인 정책기획단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세미나는 윤세영 바이오방위산업과장의 ‘2025년 레드바이오 산업 중점 추진계획’ 발표를 시작으로 ▲박상혁 에이템즈 공동대표의 ‘바이오잉크 실용화의 길’ ▲조용곤 전북대병원 의생명연구원장의 ‘오가노이드의 새로운 시대와 전북’ ▲이영미 원광대 교수의 ‘전북, 첨단바이오 연계 헴프산업의 중심지로’ ▲정창원 원광대 교수의 ‘디지털헬스케어와 전북의 의료 혁신’ 등의 강연이 진행됐다.
전북특별자치도는 2025년 바이오 산업 육성 목표로 바이오 기업 30개 유치, 국가예산 2000억 원(총사업비 기준) 이상 확보, 보스턴 글로벌 협력 거점 구축을 설정했다.
이를 위해 바이오 소부장, 디지털 헬스케어, 첨단재생의료 등 3대 핵심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특히 바이오 R&D 지원 규모를 200억 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바이오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여 기업 유치에 집중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인 산업 육성을 위해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해 12월부터 산·학·연·병 전문가들과 협의를 거쳐 바이오 산업 3대 핵심 분야를 선정했다.
바이오 소부장 분야에서는 전북이 강점을 보유한 중재적 메카노 바이오 기술과 탄소소재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산업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지난해 진행된 ‘전북형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특성화 방안’ 연구를 바탕으로 23개 과제를 발굴하고, 2026년 국가예산 사업화를 목표로 중앙부처와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첨단재생의료 분야에서는 2025년 2월 개정 예정인 ‘첨단재생바이오법’에 따라 세포치료, 유전자치료, 조직공학치료 등이 제한적으로 시행될 예정인 가운데 전북도는 관련 기업 유치와 국가예산 사업 발굴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대중 도의회 경제산업건설위원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전북의 레드바이오 산업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전북 바이오 산업이 더욱 성장할 가능성이 큰 만큼, 지역 내 기업과 연구기관이 협력하여 실질적인 성과를 이끌어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원식 미래첨단산업국장은 “전북특별자치도가 육성하려는 3대 핵심 분야와 관련된 조직공학, 오가노이드, 헴프, 디지털 헬스케어 등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세미나는 매우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 도 의회와 더욱 긴밀히 협력하여 바이오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