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머크 바이오파마는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2024 유럽종양내과학회 아시아 학술대회(ESMO Asia Congress 2024)’에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세포암 치료제 바벤시오®(성분명 아벨루맙)의 최신 아시아 리얼월드 데이터(RWD)를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데이터는 아시아 태평양(APAC) 지역, 대만, 일본 등에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세포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바벤시오® 1차 유지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한 SPADE 연구 결과를 포함한다.
SPADE 연구는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 후 질병이 진행되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바벤시오® 1차 유지요법의 치료 지속성, 안전성, 환자자기평가결과(PRO) 등을 분석한 최초의 전향적 연구이다.
SPADE 연구의 중간 결과에 따르면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으로 1차 치료를 받은 후 바벤시오® 1차 유지요법을 받은 환자의 비율은 67.0%로 나타났다.
또한, 1차 유지요법 이후 72%의 환자가 2차 치료로 이어지며 치료 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바벤시오®는 기존 글로벌 임상 결과와 일치하게 낮은 독성 발현과 관리 가능한 이상 반응을 보이며 지지 요법(BSC) 대비 무질병 생존기간(Quality-TWIST)을 2배 이상 연장한 점에서 주목받았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시판 후 조사(PMS) 데이터를 활용한 일본 리얼월드 데이터는 고령 환자군에서도 바벤시오® 유지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했다.
전체 생존율(OS)은 1년 기준 77.9%로, 연령군에 관계없이 7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64세 이하 환자군은 77.6%, 65~74세 환자군은 82.7%, 75세 이상 환자군은 72.6%의 생존율을 기록했다.
이는 바벤시오® 글로벌 3상 임상 연구(JB 100)의 대조군 생존율(71.3%)을 뛰어넘는 수치로, 장기 추적 관찰에서도 일관된 생존기간 연장 효과를 보였다.
JB 100 연구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세포암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바벤시오®의 허가 임상이다.
이 연구에서 바벤시오®는 1차 항암화학요법 시작 시점부터 전체생존기간(OS) 중앙값이 29.7개월로 대조군의 20.5개월보다 9개월 이상 연장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환자자기평가(PRO) 결과에서도 바벤시오® 1차 유지요법을 받은 환자군은 지지 요법(BSC)만 받은 대조군 대비 삶의 질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사업부 이수경 상무는 “SPADE 연구는 82.5%의 국내 환자가 포함된 만큼, 추가 분석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며 “바벤시오®가 실제 임상 환경에서 1차 유지요법으로서 치료 지속성을 제공하고 2차 치료로의 연계를 높인 점에서 국내 요로상피세포암 환자들에게도 중요한 데이터”라고 말했다.
바벤시오®는 PD-L1 억제제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 이후 1차 유지요법으로 사용된다.
기존 치료 옵션 대비 생존기간 연장과 낮은 독성으로 인해 국내외 환자들에게 의미 있는 치료 옵션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번 발표는 바벤시오®가 아시아 환자들에게도 글로벌 데이터를 통해 입증된 생존율 개선 효과와 안전성을 제공하며 국내 요로상피세포암 환자들에게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안티에이징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