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창희 교수 / 건국대병원
최근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덜덜 떨리는 증상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증상을 동반하는 심실성 빈맥은 심정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돌연사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심실성 빈맥 환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예방과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심실성 빈맥은 심장의 아래쪽 방인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으로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수축하며 뇌를 포함한 주요 장기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응급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정상적인 심장 박동은 심방에서 시작된 전기 신호가 심실로 전달되면서 조절되지만 심실성 빈맥은 심실 내부에서 비정상적인 전기 회로가 형성되어 조기 흥분이 발생하는 것이 원인이다.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면 어지럼증, 호흡 곤란, 가슴 두근거림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실신이나 심정지로 이어질 수 있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심실성 빈맥은 주로 심근경색, 심근병증, 심장 판막 질환과 같은 심혈관 질환으로 인해 발생한다.
권창희 건국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는 “심근경색으로 인해 심장 근육이 손상되거나 심근병증 및 판막 질환으로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거나 늘어나면 심실성 빈맥의 위험이 높아진다”며 “특히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관상동맥 질환 역시 심장 근육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심실성 빈맥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전해질 불균형(칼륨, 마그네슘, 칼슘 농도의 이상)이나 특정 약물의 부작용이 심실성 빈맥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 심실성 빈맥’도 일부 사례에서 확인된다.
심실성 빈맥은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으로 치료 방법에는 ▲약물 치료 ▲삽입형 제세동기(ICD) ▲고주파 전극 도자 절제술(RFA) 등이 있다.
급성 심실성 빈맥의 경우 항부정맥제를 투여해 심장 박동을 정상으로 되돌릴 수 있으며 심정지 위험이 높은 불안정한 심실성 빈맥의 경우 제세동기를 사용해 전기 충격을 가함으로써 정상 리듬을 회복시킨다.
권창희 교수는 “심실성 빈맥으로 인한 급사 혹은 실신을 경험한 환자는 이차 예방을 위해 삽입형 제세동기(ICD)를 삽입하는 경우가 많다”며 “허혈성 심근경색이나 비허혈성 심근병증으로 인해 심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도 급사의 위험이 높아 ICD 삽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약물 치료나 ICD 삽입 후에도 심실성 빈맥이 재발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비정상적인 전기 회로를 제거하는 ‘고주파 전극 도자 절제술(RFA)’이 고려될 수 있다.
권 교수는 “최근 85세 고령 환자에게 성공적으로 전극 도자 절제술을 시행한 사례가 있다”며 “환자, 보호자, 주치의 간 충분한 논의를 거쳐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심실성 빈맥은 돌연사의 주요 원인 중 하나지만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평소 심혈관 건강을 유지하고 주요 위험 요인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심근경색, 심근병증, 관상동맥 질환 등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이상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심장 두근거림, 흉통,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심실성 빈맥은 조기 치료가 이루어질 경우 예후가 크게 개선될 수 있는 질환”이라며 “생활 습관 개선과 정기적인 심장 검진을 통해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