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철 교수 / 고려대 의과대학
국내 연구진이 뇌소혈관질환과 인지 저하의 관계를 규명하며 중장년 및 노년층에서 조기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고려대 의과대학 신철 교수 연구팀(인간유전체연구소)은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진행된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뇌소혈관질환(cSVD)과 인지 기능 저하 사이의 관계를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49세에서 79세까지의 성인 2,454명을 대상으로 뇌 자기공명영상(MRI)과 인지 능력을 8년간 추적 분석한 결과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 참가자의 37%가 뇌소혈관질환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집중력과 기억력 저하가 더욱 두드러졌다.
특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뇌소혈관질환이 있는 그룹의 인지 능력 저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소혈관질환은 뇌의 작은 혈관들이 손상되거나 막히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점진적으로 뇌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흡연 ▲수면무호흡증 등이 있으며 이러한 위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발병 가능성이 높아진다.
대혈관질환이 급성 뇌졸중이나 출혈을 유발하는 것과 달리, 뇌소혈관질환은 초기 증상이 미미하거나 모호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손 떨림 ▲걸음걸이의 느려짐 ▲언어 장애 ▲한쪽 입가나 손발의 미세한 마비 등이 관찰된다면 신속하게 병원을 찾아야 한다.
신철 고려대 의대 교수는 "중장년층과 노년층에서 뇌소혈관질환은 인지 기능 저하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며 "특히 실행기능인 집중력과 기억력 저하가 두드러지며 수면무호흡과 동반된 고혈압이나 당뇨병을 가진 경우 위험이 더욱 커지므로 조기 진단과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뇌소혈관질환을 방치할 경우 치매, 보행 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적극적인 예방과 관리가 요구된다.
특히 45세 이상이거나 고혈압,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뇌 건강 점검과 정밀 검사를 통해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적절한 치료와 생활 습관 개선을 병행하면 뇌졸중, 인지 저하, 치매로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이에 따라 ▲규칙적인 운동 ▲균형 잡힌 식단 ▲금연 ▲충분한 수면 ▲혈압·혈당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주관하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으로 진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의학 저널인 란셋(The Lancet)의 자매지인 ‘란셋 지역 건강-서태평양(The Lancet Regional Health-Western Pacific)’ 2025년 2월호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중년기 뇌소혈관질환과 노년기 인지기능: 인구 기반 전향적 코호트 연구(Middle-age cerebral small vessel disease and cognitive function in later life: a population-based prospective cohort study)’로 중장년층에서의 뇌소혈관질환이 노년기의 인지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점에서 학계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뇌 건강 관리가 장기적인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 전략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