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혁순 교수 / 고려대 안암병원

식도암은 별다른 초기 증상이 없어 조기 진단이 중요한 암 중 하나다. 특히 식도는 위나 대장과 달리 장막에 싸여 있지 않아 암세포가 주변 임파선이나 인접한 장기로 쉽게 전이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필수적이다.

식도암은 우리나라에서 11번째로 흔한 암으로 주로 40세 이후의 남성에게서 발생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음주와 흡연이 꼽히며 특히 알코올은 자체적으로 발암 물질일 뿐만 아니라 다른 발암 물질이 정상 세포에 침투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붉은 육류 및 가공육류, 뜨거운 음료 등 식도에 자극을 주는 식습관도 식도암 발생률을 높인다.

또한, 비만 역시 식도암의 원인 중 하나다. 위산의 식도 역류로 인해 바렛식도(Barrett's esophagus)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는 식도암 발생과 직결된다.

과거 서양에서 주로 발생했던 바렛식도는 최근 국내에서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는 생활습관의 변화와 역류성 식도염 환자의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식도암의 증상은 비교적 늦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병원을 방문했을 때는 이미 암이 진행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음식 삼킴 시 통증, 체중 감소, 출혈, 만성 기침 등이 있으며 주변 신경이 눌리면서 쉰 목소리가 나는 경우도 있다.

식도암의 조기 진단은 내시경 검사를 통해 가능하다. 식도 벽의 점막 조직에 국한된 암이라면 내시경 절제술로 완치가 가능하며 더 깊이 진행된 경우라도 외과 수술 및 방사선 치료를 통해 치료할 수 있다.

특히 내시경 점막 절제술 및 점막하 박리술을 적용할 수 있는 초기 식도암의 경우 5년 생존율이 90% 이상에 달해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식도암 예방을 위해서는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적이다. 흡연과 음주를 줄이고 뜨겁고 자극적인 음식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맵거나 뜨거운 음식은 식도 점막을 자극해 암 발병 위험을 높이므로, 가급적 부드럽고 담백한 음식과 신선한 채소 위주의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혁순 고려대 안암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최근 식도암의 5년 생존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내시경 정기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사례가 많아졌기 때문”이라며 “식도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가 가능한 암이므로 식도·위 내시경 검진을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삼킴 곤란, 통증, 목이나 가슴에 걸리는 듯한 느낌이 있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아야 한다”며 “특히 국내 식도암 환자는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아, 음주 및 흡연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식도암 예방의 핵심”이라고 조언했다.

조기 진단을 통한 치료가 가능해진 만큼 식도암 예방을 위해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정기적인 내시경 검진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