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용인 연구소 / 대웅

대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 과제에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대량 생산 기술 개발’이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재생의료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평가받으며 대웅은 이를 통해 오가노이드 대량 생산 기반을 마련하고 글로벌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오가노이드는 인체 장기를 모방한 3차원 조직으로 ‘인체 장기의 축소판’으로 불린다. 손상된 장기와 조직의 재생을 돕는 재생 치료제로 활용되며 심장, 간, 신장 등 주요 장기 기능이 손상된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난치병 치료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높아 재생의료 분야의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대웅은 오가노이드 배양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핵심 소재 개발과 자동화된 배양 환경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에 수입에 의존하던 세포외 기질, 성장 인자 등 주요 소재의 국산화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을 위한 공정의 표준화와 자동화도 실현할 예정이다.

오가노이드 배양에는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며 특히 3D 구조로 자라는 특성상 균일한 영양소와 산소 공급이 필수적이다.

기존 배양 용기는 이러한 환경을 표준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웅은 배양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전용 배양 용기와 핵심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자동화 공정을 통해 품질 편차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대량 생산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대웅은 국내 바이오 신약 1호인 ‘이지에프외용액’부터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 골대체재 ‘노보시스’에 이르기까지 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혁신 제품을 개발해왔다.

또한, GMP 인증을 받은 용인 바이오센터를 기반으로 첨단 바이오의약품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줄기세포 연구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대웅 관계자는 “이번 과제를 통해 고품질 오가노이드 대량 생산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재생의료 산업에서 게임 체인저로 자리매김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국내 바이오 산업의 자립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대웅은 이번 과제를 발판 삼아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하는 재생의료 시장에서 선두주자로 자리잡을 계획이다.

재생의료 산업의 미래를 선도하는 대웅의 도전이 세계 바이오 헬스케어 시장에서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