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3일 국민 누구나 의료기관별 비급여 가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2025년 의료기관 비급여 가격(진료비용)을 심평원 누리집과 모바일 앱 ‘건강e음’을 통해 공개한다고 밝혔다.
비급여 가격 공개제도는 의료기관마다 차이가 있는 비급여 진료 항목의 가격 정보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제공해 알 권리를 보장하고 합리적인 의료 이용을 돕기 위해 도입됐다.
올해 공개되는 항목은 전국 의료기관의 693개 비급여 항목이며 소비자들이 진료 전 가격을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심평원의 조사·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4년과 2025년에 공통으로 조사된 571개 항목 중 64.3%(367개)의 평균 가격이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8.7%(278개)의 항목에서 기관 간 가격 편차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됐다.
도수치료의 평균 가격은 전년 대비 1.3% 인상되었으며,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평균 2.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플란트와 약침술의 경우 의료기관 간 가격 편차가 확대됐고 올해 새롭게 공개된 안과질환 진단검사인 샤임프러그 사진촬영은 의료기관별 가격 차이가 특히 큰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항목별 의료기관 간 가격 편차 사례를 보면, 도수치료는 서울 A의원에서 10만 원(중간금액), 경남 B의원에서 25만5천 원(최대금액)으로 차이를 보였다.
폐렴구균 예방접종료는 울산 C의원이 13만 원(중간금액), 세종 D의원이 18만 원(최대금액)으로 조사됐다.
임플란트의 경우 부산 E의원이 120만 원(중간금액), 서울 F의원이 250만 원(최대금액)으로 나타났으며 약침술은 서울 G의원 1만 원(중간금액), 서울 H의원 3만 원(최대금액)으로 확인됐다.
샤임프러그 사진촬영(편측)은 광주 I의원 10만 원(중간금액), 서울 J의원 200만 원(최대금액)으로, 가격 격차가 가장 두드러졌다.
보건당국은 의료기관 간 가격 차이가 진료기준, 시술 난이도, 인력·장비 등 다양한 요인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는 국민들이 비급여 가격을 보다 쉽게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공개 화면을 개편했다.
다빈도 비급여 항목의 빠른 조회 기능이 신설됐으며 지역별·규모별 비교 금액 제공, 진료내용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결과 및 급여기준 정보 확대가 이뤄졌다.
또한, 질병관리청의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와 연계해 국민 편의를 높였다.
권병기 보건복지부 필수의료지원관은 “앞으로도 소비자와 의료계 등 다양한 의견을 청취해 국민이 비급여 진료를 선택할 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비급여 가격공개 제도를 지속 개선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제도 개선과 가격 정보 공개를 통해 국민들은 비급여 진료비용을 사전에 확인·비교해 보다 현명한 의료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