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은 설렘과 기대가 가득한 시간이지만 이 과정에서 갑작스럽게 나타나 산모와 태아 모두를 위협하는 질환이 있다. 바로 임신중독증이다.
겉보기에는 아무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어느 순간 빠르게 악화돼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임신중독증은 임신 기간 동안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고 단백뇨가 동반되는 질환으로 임신 20주 이후 전체 임신부의 약 4~8%에서 발생한다.
최근 국내외에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산모와 태아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의학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경우 임신성 고혈압을 의심할 수 있다. 여기에 단백뇨가 확인되면 임신중독증 진단이 가능하다.
하지만 실제로는 단백뇨 없이도 중증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어, 고혈압이 발생한 임신부라면 주기적인 혈압 측정이 필수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시야 장애, 복통, 부종, 경련 등이 있으며 간·신장·심장 등 주요 장기에 손상을 줄 수 있다.
특히 경련으로 인한 뇌신경 손상이나 산모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태아에게는 자궁 내 성장 지연, 양수 감소, 태반 조기 박리, 심지어 자궁 내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다.
임신중독증의 기본 진단은 혈압 측정과 단백뇨 검사다. 이와 함께 혈액검사 및 소변검사를 통해 간 기능, 신장 기능, 혈소판 수치를 확인하고, 장기 부전 가능성을 주기적으로 살펴야 한다. 증상이 심한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하며, 상황에 따라 응급 분만을 결정할 수도 있다.
송관흡 고려대안산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임신중독증은 임신에서 기인한 질환이므로 최선의 치료법은 출산”이라며 “임신 주수에 따라 산모 혈압 조절과 태아 성장 상태를 면밀히 관찰해 분만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임신중독증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제왕절개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태에 따라 자연분만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임신중독증을 완전히 예방하는 방법은 없다. 그러나 고령, 비만, 만성 고혈압, 당뇨병, 신장 질환이 있거나 과거 임신중독증 병력이 있는 고위험군에서는 임신 16주 이전부터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이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중요한 예방법은 자신의 위험 요인을 인지하고 정기적인 산전 진찰을 통해 혈압과 단백뇨를 꾸준히 확인하는 것이다. 여기에 균형 잡힌 식단, 적절한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 건강한 생활습관이 병행돼야 한다.
전문가들은 “임신중독증은 조기 발견이 생명을 살린다”며 “정기적인 검진과 생활습관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산모와 태아 모두의 건강을 임신 기간 내내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