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다케다제약은 강동경희대병원 소아청소년과 박영실 교수 연구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데이터를 활용해 진행한 국내 혈우병 A 환자 대상 대규모 분석 연구 ‘KHORT 연구(Burden of Haemophilia A in South Korea: A Serial Cross‐Sectional Study From 2008 to 2021)’가 국제 SCIE급 학술지 에 게재됐다고 18일 밝혔다.이번 연구는 2008년부터 2021년까지 14년간의 국가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분석해 혈액응고 8인자(Factor VIII) 예방요법의 장기 효과를 정량적으로 입증한 국내 최초 사례다. 특히 혈우병 A 환자에서 관절
한방의료 이용 실태조사 결과가 발표되면서 국민 10명 중 약 7명이 한방의료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30일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한방의료이용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하며 한의약에 대한 국민들의 이용 행태, 인식, 만족도 등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한방의료 이용 경험자는 전체의 67.3%로, 2022년의 71.0%보다는 소폭 감소했다. 성별과 연령에 따라 이용률 차이가 있었는데 여성(69.8%)이 남성(64.7%)보다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고령층일수록 이용률이 높았다. 60세 이상은 86.6%에 달했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신약 허가 수수료를 기존 883만원에서 4억1000만원으로 대폭 인상하는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번 인상은 신약 심사 인력 확충과 허가 기간 단축을 위한 조치로, 신약 허가 혁신 방안의 일환이다. 이 개정안은 `의약품 등의 허가 등에 관한 수수료 규정`을 개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9일 행정 예고됐다. ■ 수수료 인상 배경 및 세부 내용 신약 1건당 허가 심사 수수료 4억1000만원은 인건비 2억6000만원, 심사 관련 경비 1억3000만원, 그리고 일반 관리비 2000만원으로 구성된다. 식약처는 이번 개정안이 글로벌 규제 수준에 맞춰 수수료를 현실화하려는 조치라고 밝혔다. 미국
베이진코리아는 면역항암제 테빔브라주(성분명 티슬렐리주맙)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식도암, 위암,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적응증 추가 승인을 획득했다고 26일 밝혔다.이번 승인으로 테빔브라는 3개 고형암 분야에서 총 5개 적응증에 대해 1차 또는 2차 치료요법으로 사용 가능하게 됐으며 특히 식도암 영역에서는 국내에서 최초로 PD-L1 발현율과 관계없이 모든 환자
애브비(AbbVie)가 개발한 편두통 예방 치료제 ‘아큅타®’(성분명: 아토제판트, 60mg 1일 1회 복용)가 기존 치료제인 토피라메이트 대비 내약성과 예방 효과에서 모두 우수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이번 결과는 미국 시간으로 지난 18일 공개된 3상 다기관 무작위 이중맹검 연구 ‘TEMPLE’ 연구를 통해 도출됐으며 아토제판트의 임상적 가치를 명확히
한국로슈가 척수성 근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SMA) 치료제 ‘에브리스디(Evrysdi, 성분명: 리스디플람)’의 정제(태블릿) 제형이 지난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허가로 국내 SMA 환자들은 기존 액상 제형에 더해 정제 제형까지 선택할 수 있게 되면서 일상 속 복약 유연성과 편의성이 대폭
한국MSD가 자사의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CMV) 예방 치료제 ‘프레비미스(성분명: 레테르모비르)’의 건강보험 급여 적용 기준이 확대됐다고 4일 밝혔다.이번 급여 확대는 6월 1일부터 시행되며 고위험 동종조혈모세포이식(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성인 환자에서 프레비미스 투약
한국얀센은 지난 15일 대한류마티스학회 제45회 춘계 국제학술대회(KCR 2025)에서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심퍼니®주(Simponi IV, 성분명: 골리무맙)’의 급여 10주년을 기념하는 ‘심퍼니®주 런천 심포지엄’을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이번 심포지엄은 지난 10년간 심퍼니®주가 국내 류마티스관절염 치료 현장에서 축적
한국화이자제약은 1일부터 자사의 ALK 양성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로비큐아® 정 25mg, 100mg’(성분명: 롤라티닙, Lorlatinib)이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기존의 후속 치료에서 1차 치료까지 확대 적용받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급여 확대는 ALK 유전자 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게 치료 접근성을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자사의 중증 호산구성 천식 치료제 ‘파센라(성분명 벤라리주맙)’의 다발혈관염 동반 호산구육아종증(EGPA) 적응증 추가를 기념해 지난달 28일 국내외 의료진과 함께 아시아 지역의 임상 경험을 공유하는 전문가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이번 심포지엄은 ‘FASENRA experience sharing in Asia’를 주
한국유씨비제약은 자사의 인터루킨-17A 및 17F 이중 억제제인 빔젤릭스(성분명: 비메키주맙) 오토인젝터주가 세계적인 제약·바이오 포장 및 약물전달기기 시상식인 ‘2025 파마팩 어워즈(Pharmapack Awards)’에서 ‘환자 중심 디자인(Patient-Centric Design)’ 부문 디자인상을 수상했다고 17일 밝혔다.이번 수상은 환자의 안전성과
강원대병원, ESG 실천 본격화...친환경 전기차 충전소 14기 설치 운영
강원대병원, 2025년 상반기 ‘베스트 닥터’ 4인 선정
KMI한국의학연구소·대한임상병리사협회, 회원 건강증진 위한 업무협약 체결
건국대병원, 감염병 위기대응훈련 통해 실전 역량 강화
강원대병원, ‘다빈치 5’ 로봇수술 첫 성공...지역 첨단 외과수술 새 장 열어
강원대병원이 첨단 로봇수술 시스템 ‘다빈치 5(Da Vinci 5)’를 활용한 첫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수술은 지난 19일 비뇨의학과 안한종 교수의 집도로 진행됐으며 대상은 전립선암 환자였다. 로봇수술기기 다빈치 5는 기존 다빈치 로봇 시스템보다 정밀도와 안정성, 의료진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 최신 버전으로 국내에서도 일부 대형병
청년 폼페병 환우와의 진심 어린 만남...“질환을 넘어 삶을 이야기하다”
사노피 한국법인이 지난 5일 청년 폼페병 환우들과 함께하는 사내행사 ‘청년 폼페병 환우와의 대화’를 개최했다.이번 행사는 단순한 질환 정보 전달을 넘어, ‘삶을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환우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공감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기획됐다. 사노피는 희귀 유전질환인 폼페병을 앓고 있는 청년 환우들과의 진정성 있는 소통을 위해 이번 행사를 준비했으며
심평원, 일회용 치료재료 재처리 제도 도입 위한 공동 심포지엄 개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다음달 4일 ‘안전한 치료재료 재처리 제도 도입 방안’을 주제로 대한병원협회, 대한수술감염학회와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한다.이번 심포지엄은 일회용(Single-Use Device) 치료재료의 안전한 재처리 제도 도입을 위한 공감대 형성과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기획됐다. 심평원은 이번 행사를 통해 국내 의료현장의 현실을 반영한
한국심초음파학회, ‘두근두근 체크 메이트’ 건강강좌 개최
한국심초음파학회가 다음달 5일 유전성 희귀질환인 비후성심근증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공개 건강강좌 ‘두근두근 체크 메이트, 비후성심근증 건강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학회 유튜브 채널(KSEchoTV)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실시간 중계될 예정이다.비후성심근증은 심장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져 심장의 이완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유전적 요인
국내 첫 건강보험 청구자료 기반 혈우병 A 장기 연구, 8인자 예방요법의 효과 입증
한국다케다제약은 강동경희대병원 소아청소년과 박영실 교수 연구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데이터를 활용해 진행한 국내 혈우병 A 환자 대상 대규모 분석 연구 ‘KHORT 연구(Burden of Haemophilia A in South Korea: A Serial Cross‐Sectional Study From 2008 to 2021)’가 국제 SCIE급 학
비비드키친, 건강한 한식 위한 '저당 조리양념 7종' 출시
동원홈푸드가 자사의 식단 관리 전문 브랜드 `비비드키친(VIVID KITCHEN)`을 통해 건강한 한식 조리를 돕는 저당 조리양념 7종을 새롭게 선보였다. 이번 제품은 설탕 대신 알룰로스를 활용해 100g당 당류 함량을 3g 이하로 낮춘 것이 특징이다. 비비드키친 저당 조리양념은 한식을 즐기고 싶지만 설탕 섭취가 걱정인 소비자들을 위한 맞춤형 제품이다.
무리한 운동, 건강 해칠 수도...'횡문근융해증' 주의보
관상동맥 치료, 스텐트 시술과 수술 중 어떤 선택이 최선일까?
자꾸 저리는 손, ‘손목터널증후군’일 수 있습니다
2주 이상 쉰 목소리 지속되면...“후두암, 정밀검사 필요합니다”
장마철, 치명적 감염질환 ‘비브리오 패혈증’ 주의보
조용히 파괴되는 관절...‘류마티스관절염’ 조기 진단과 치료가 일상 회복의 열쇠
강직척추염, 여름철 냉방도 통증 유발...계절 맞춤 관리법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