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조사 결과 / 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전문위원회
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전문위원회가 27일 발표한 ‘24년도 보툴리눔 톡신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 보툴리눔 톡신 시술이 고용량·다빈도화 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내성 발생이 의심되는 소비자 비율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성 발생 가능성에 대해 의료진에게 안내받은 비율은 소폭 증가했지만 여전히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위원회는 2023년과 2024년에 걸쳐 국내 만 20~59세 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보툴리눔 톡신 관련 소비자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년 동안 2회 이상 톡신 시술을 받는 소비자의 비율은 ‘23년 56%에서 ‘24년 59%로 증가했으며 한 번에 두 부위 이상 시술을 받는 비율도 51%에서 55%로 늘어났다.
분당서울대병원 피부과 허창훈 교수(위원회 전문위원)는 “톡신 효과 감소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23년 대비 1% 증가해 75%로 확인되었으며 내성이 발생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응답한 비율도 2% 증가해 38%에 달했다”며 “보툴리눔 톡신 시술의 고용량, 다빈도화가 내성 의심 소비자 증가의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시술 상담 시 내성 발생 가능성에 대해 안내를 받았다는 비율은 ‘23년 36%에서 ‘24년 46%로 증가했다.
이에 대해 압구정오라클피부과 박제영 대표원장(위원회 전문위원)은 “의료진이 내성 가능성에 대해 설명해주는 노력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시술 상담 시 과거 이력에 대한 질문이나 안내를 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항상 질문 또는 안내를 받았다’고 응답한 비율은 ‘23년과 동일하게 23%에 그쳤다.
박제영 원장은 “내성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의료진과 소비자 간의 과거 시술 이력을 바탕으로 한 상담이 필수적”이라며 “적정 용량, 적정 주기, 적정 제품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옥륜 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전문위원회 위원장(서울대 명예교수)은 “보툴리눔 톡신 시술은 국내에서 매우 흔하지만 이번 조사 결과는 안전하고 올바른 사용방법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부족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어 “소비자들이 현명한 톡신 시술을 위해 전문가와 충분히 상담하고, 올바른 정보를 바탕으로 안전하게 시술받는 문화가 정착되어야 한다”며 “위원회는 앞으로도 안전한 보툴리눔 사용 환경 조성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전문위원회’는 2023년 10월 한국위해관리협의회 산하 소위원회로 출범했다.
이 위원회는 국내 보툴리눔 톡신의 안전성을 높이고 올바른 사용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설립됐으며 문옥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가 위원장을 맡고 있다.
또한, 허창훈 분당서울대병원 피부과 교수, 박제영 압구정오라클피부과 대표원장 등 총 6명의 전문위원이 활동하고 있다.
위원회는 최근 개설한 웹페이지를 통해 소비자, 의료진, 관련 업계 종사자에게 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마이 톡신 체크리스트’를 통해 톡신 시술 부위별 적정 주기, 발생 가능한 부작용, 제품별 차이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소비자가 시술 전 이를 참고하고 의료진과 상담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보툴리눔 톡신 내성 문제는 고용량, 다빈도화된 시술 관행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과거 시술 이력을 바탕으로 한 상담 ▲적정 용량 및 주기의 설정 ▲내성 발생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안내 ▲제품별 특성에 대한 정보 제공 등 소비자와 의료진 간의 소통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박제영 원장은 “보툴리눔 톡신은 개인마다 효과와 내성 발생 가능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이 과거 시술 이력 및 제품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적절한 상담을 진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옥륜 위원장은 “내성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톡신 시술의 특성과 내성 발생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의료진과 상의하여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보툴리눔 톡신 시술의 고용량·다빈도화와 내성 발생 문제의 심각성이 드러난 만큼, 안전한 톡신 사용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전문위원회는 앞으로도 ▲의료진 교육 강화 ▲소비자 대상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 확대 ▲안전한 사용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및 데이터 축적을 통한 근거 기반 정책 수립 등을 통해 안전한 보툴리눔 톡신 사용 환경을 조성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이번 조사 결과는 국내 보툴리눔 톡신 시장의 시술 트렌드 변화와 소비자 인식 변화에 대한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안전한 보툴리눔 톡신 사용 환경을 마련하고, 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