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14일 정은경 장관이 충북대병원서 필수의료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14일 강원대학병원에서 제5차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협의체' 회의를 확대 개최하고 국립대학병원의 임상·교육·연구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적 육성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주재로 진행됐으며 최은옥 교육부 차관과 9개 지역 국립대학병원장이 참석했다.
애초 협의체에는 충남대병원, 경북대병원, 전북대병원, 강원대병원 등 권역별 대표 병원만 참석했으나 이번 회의에서는 논의를 확대하기 위해 9개 국립대학병원장이 모두 참여하는 형태로 운영됐다.
복지부와 교육부는 국립대학병원의 역할 확대 필요성에 따라 지난해 10월부터 총 33차례에 걸쳐 협의체, 간담회, 집행부 회의 등을 개최하며 폭넓은 의견을 수렴해 왔다.
특히 최근 구성된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협의체'는 국립대학병원의 소관 부처를 보건복지부로 이관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원 로드맵을 마련하고 의료 공백 최소화 방안과 교육·연구 기능 보호대책 등을 집중 논의하고 있다.
정부는 또한 9개 지역 국립대학병원을 직접 방문해 교수진과의 간담회를 진행하는 등 현장의 요구와 우려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현장 중심의 소통을 이어왔다.
복지부와 교육부는 그동안의 의견 수렴을 토대로 국립대학병원의 종합적 육성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해당 청사진에는 ▲국립대학병원의 역할 강화를 위한 인력·인프라 지원 확대 ▲교육·연구 기능이 위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전문인력 확충 ▲국립대학병원 특화 R&D 지원 강화 ▲수련병원으로서의 기능 강화 등 재정적·제도적 지원방안이 포함된다.
정부는 이러한 계획을 통해 국립대학병원이 지역·필수·공공의료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이번 제5차 협의체 회의에서는 종합적 육성방안 초안에 대한 현장의 의견을 집중적으로 청취했다.
참석 병원장들은 교육·연구 기능 유지, 필수의료 공백 해소, 지역 의료 인프라 확충 등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복지부와 교육부는 의견수렴 과정을 이어가며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최종 육성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